Factors Influencing Compliance with Anti-Tuberculosis Therapy

폐결핵 환자의 치료 순응과 관련된 요인

  • Kim, Cheon-Ta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Kyeong-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ang, Pock-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김천태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경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강복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6.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compliance with anti-tuberculosis therapy. The study subjects were 104 tuberculosis patients who have received the initial treatment in 3 health centers of Kyongju-City, Dalseong-Gun in Teagu and Kumi-City.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1995.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improved group and the non-improved group according to outcomes of 3 month treatment with short-term therapeutic regimen. To find factors influencing compliance with anti-tuberculosis therap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mad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mproved group and the non-improved group in sex, age, education level, occupation, family pattern, and habitual change regarding smoking and drinking.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anti-tuberculosis therapy in the improv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improved group(p<0.01).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amily support for not forgetting medication (p<0.05) wis a predictor of improvement and knowledge about anti-tuberculosis therapy(p=0.054), regularity of medication(p=0.062), and consultation to family, doctor and nurse(p=0.075) were marginal predictors of improvement. Treatment must be given to every patient confirmed as having tuberculosis and must be given free of charge to the patients. The requirements for adequate chemotherapy are prescribed in the correct dosage and taken regularly by the patient for a sufficient period to prevent relapse of the disease after cure.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 to the patients should be reinforced and connectedness between patients and tuberculosis control workers and family should be solidated.

항결핵치료 시작 후 3개월간의 치료 경과와 치료 순응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3개 보건소(대구시 달성군, 경주시, 구미시)에 1995년 10월 15일 현재 단기 6개월 표준처방으로 치료 시작 후 3개월 이상 경과된 초치료 결핵환자 중 계속적인 추적관찰에서 누락된 10명을 제외하고 104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 104명 중 호전군은 80.8%였고, 비호전군은 19.2%였다. 호전군과 비호전군간에 성, 연령, 교육 수준, 직업, 동반 가족유무, 흡연 및 음주습관의 변화 등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평균 연령은 비호전군이 51세로 호전군 42세보다 많았으나 유의 한 차이는 아니었다. 호전군에서는 약제의 복용을 식전과 식후 30분에 복용하는 경우(p<0.05), 약의 복용을 잊지 않도록 가족들이 챙겨 주는 경우(p<0.05),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경우(p<0.01), 항결핵치료 도중 의문점을 가족이나 결핵담당자와 상의하는 경우(p<0.01) 등이 유의하게 많았다. 비호전군에서는 당뇨병이나 위장 질환 등을 않고 있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p<0.01). 결핵에 대한 지식점수는 호전군이 12.9로 비호전군 10.6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1), 지식정도의 문항에 대한 신뢰도 검증 결과 신뢰성$(Cronbach'\alpha:0.703)$이 있었다. 치료경과를 호전군과 비호전군으로 나누어 종속변수로 놓고 시행한 다중 지수형 회귀분석에서는 약의 복용을 잊지 않도록 가족들이 챙겨주는 경우(p<0.05)가 유의한 변수로 채택되었고, 결핵에 대한 지식이 높은 경우(p=0.054),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경우(p=0.062), 항결핵치료 도중 의문점을 가족이나 결핵담당자와 상의하는 경우(p=0.075)는 경계역의 변수로 채택되었다. 결론적으로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할 수 있도록 항결핵치료에 대한 신념을 불어넣고 경각심을 높임으로써 환자의 치료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단기 6개월 표준요법에 의한 치료에 있어서 치료시작 후 3개월간의 치료 경과로 치료 결과를 예측하고 환자의 치료순응을 평가하기 위한 변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결핵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환자의 치료 순응을 높이기 위하여 환자에 대한 교육과 의사 또는 결핵관리자와 환자, 조력자간의 강한 유대 관계의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