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and Growth Pattern of Sternaspis scutata (Polychaeta : Sternaspidae) in Chinhae Bay, Korea

진해 만산 오뚜기갯지렁이 Sternaspis scutata (다모강 :오뚜기갯지렁이과)의 분포 및 성장

  • LIM Hyun-Sig (Department of Marine Resourc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 HONG Jae-Sa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Inha University)
  • Published : 1996.07.01

Abstract

A population study on the sternaspid polychaete Sternaspis scutata (Ranzani) was conducted in Chinhae Bay, Korea, from lune 1987 to May 1990. Sternaspis scutata was chiefly distributed in the mouth area of the bay, and its distributional delimitation remained unchanged all the year round. Abundance of this species appeared to be related to the organic carbon content of the sediment. It was relatively high in the area where the organic content of the sediment was between 2.0 and $4.0\%(mean\;3.8{\pm}1.11)$ with mean grain size of $8.75\phi$.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the ventral plate and the body wet weight is Wt=13.2752 $L^{2.7984}(R^2=0.962)$. Therefore, the length of ventral plate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body growth of this species. The growth curves fitted to yon Bertalanffy equations for ventral plates and weights are $L_{t}=5.235(1-e^{-0.3625(t-0.4047)})$ and $W_{t}=1364.1(1-e^{-0.3625(t-0.4047)})^{2.7984}$, respectively. Size frequency histograms showed that the settlement occurred during all the year round with its peak in summer.

진해만의 저서동물 군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1987.6\~1990.5$까지 총 22회에 걸쳐 채집된 저서동물 자료 중 오뚜기갯지렁이 (Sternaspis scutata)에 대한 개체군 생태를 조사하였다. 진해만 내에서 이종은 유기 오염도가 낮고 외해역의 영향을 받는 만입구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계절에 따라 분포역이 확대되거나 축소되지 않고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주된 분포역의 퇴적물 내의 유기물 함량은 $2.0\~4.0\%$ (평균 $3.8{\pm}1.11$)였으며, 평균 입도는 $8.75\phi$였다. 이 종의 분포 밀도는 퇴적물의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따라서 세립하고 유기물이 많은 내만보다 상대적으로 조립하고 유기물량이 적당하며 외해의 영향을 받는 곳에서 서식밀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종의 등판의 길이 (L)와 습중량 (Wt)간에는 $Wt=13.2752\;L^{2.7984}\;(R^2=0.962)$의 매우 높은 상관 관계가 있어 성장과 함께 등판의 길이도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등판의 길이는 성장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관계를 이용하여 오뚜기갯지렁이의 성장은 von Bertalanffy 성장 방정식에 의해 등판 길이는 $L_{t}=5.235(1-e^{-0.3625(t-0.4047)})$로, 체중 성장은 $W_{t}=1364.1(1-e^{-0.3625(t-0.4047)})^{2.7984}$로 유도되었다. 등판 길이의 빈도 분포로부터 부유유생 시기를 마친 어린 개체의 착저는 연중 일어나지만, 월별 밀도 변화로부터 여름철이 주착저 시기로 추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