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동해 연안역의 저서 해조류 : 해조상, 분포 및 군집구조

Benthic Marine Algae in the East Coast of Korea : Flora,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 NAM Ki Wan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 Sik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 Hwan (Department of Bi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SOHN Chul Hyun (Department of Aquacultur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6.09.01

초록

동해안 저서 해조 군집의 시공간적 특성을 구명하하여 경북 영일군 기 위대보면 구만리에서 line transect를 따라서 방형구법에 의해 1995년 7월부터 1996년 6월까지 계절별로 정성, 정량적인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 결과, 2 미기록종 Pikea californica, Pulvinia epiphytica을 포함하여 총 144종이 동정 분류되었으며 (남조식물 5종, 녹조식물 18종, 갈조식물 20종, 홍조식물 101종), 계절별로는 가을에 제일 많은 종 (92종)이 관찰되었다. 우점종으로 Ulva pertusa, Gelidium amansii, Symphyocladia latiusula 3종이 비교적 높은 피도와 빈도로 연중 출현하였고, 계절별 우점종은 봄의 경우 Sargassum thunbenii, 여름과 가을에는 U. pertusa, 겨울에는 Chondrus ocellatus와 Monostroma grevillei로 나타났다. 연평균 현존량은 $185.8g/m^2$으로 봄에 $267.3g/m^2$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가을에 $93.7g/m^2 $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또한 종다양도 및 균등도는 봄에 제일 높은 값을 나타냈고, 겨울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수직분포에서는 계절에 따라 우점종이 바뀌면서 그들이 번무 또는 쇠퇴와 더불어 분포역의 확대 및 축소가 수반되었고, 계절에 따라서 유사도 $20\~30\%$ 수준에서 상부와 하부, 또는 상부, 중부, 하부로 3개의 분포역의 구분이 가능했다. 4계절을 종합해 볼 때, 상부, 중부쪽에서는 대체로 녹조식물(M. grevilli, Capsosiphon fulvescent, U. pertusa, Enteromorpha compressa)과 갈조식물 (Sargassum fulvellum, S. thunbergii)이, 하부쪽에는 홍조식물 (G. amansii, C. ocellatus, S. latiuscula, Grateloupia okamurae, Pachymeniopsis elliptica)들이 우점하여 분포했다. 이 지역의 해조군집은 계절과 여러 환경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는데, 특히 수직분포의 계절적 변화는 일차적으로 수온과 깊은 관계가 있고, 또한 계절별 조위 변화 및 일사량의 변화에 따른 해조류의 건조에 대한 내성도 여기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o know the floristic composition, vortical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rine benthic algae inhabiting in the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of Yongil Bay, east coast of Korea, the study has performed using the quadrat method along a transect line from July, 1995 to June, 1996. In this area, a total of 144 species including 2 new red algae to Korea was found: 5 blue-green, 18 green, 20 brown and 101 red algae. The representative species throughout the year were Ulva pertusa, Gelidium amansii and Symphyocladia latiuscula. Dominant species were Sargassum thunbergii in spring, U. pertusa in summer and autumn. In winter, Chondrus ocellatus and Monostroma grevillei occurred dominantly. The standing crop exhibited mean value as $185.8g/m^2$ dry weight. Maximum value was recorded in spring $(267.3g/m^2)$ and minimum was observed in winter $(93.7g/m^2)$. Shannon's species diversity (H') and evenness (J') as maximum value were recorded in spring, whereas minimum values were shown in winter. Vertical distribution, rerognized by cluster analysis based on relative coverage of the species, could be divided into two or three algal groups except spring. In general, green algae (M. grevillei, Capsosiphon fulvescens, U. pefusa, Enteromorpha compressa) and brown algae (Sargassum fulvellum, S. thunbergii) were represented in the upper and middle zone and red algae (G. amansii, C. ocellatus, S. latiuscula, Crateloupia okamurae, Pachymeniopsis eilliptica) in the lower zone. The algal community varied according to seas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Particularly, seasonal variation of vortical distribution seemed to be affected primarily by water temperature. Also seasonal tidal level and tolerance of algal species to desiccation appeared to be associated with it in this are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