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types of Hepatitis B Surface Antigen Among Chronic Liver Disease

B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인 만성 간질환에서 Hepatitis B 표면항원의 아형

  • Cho, Hee-Soon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im, So-Yeo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Chae-Hoon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Kyung-Dong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Chung-Sook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조희순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과학교실) ;
  • 임소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과학교실) ;
  • 이채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과학교실) ;
  • 김경동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과학교실) ;
  • 김정숙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과학교실)
  • Published : 1996.12.30

Abstract

Four subtypes of hepatitis B surface antigen are useful in the epidemiologic studies of the route of virus transmission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simultaneous occurance of hepatitis B surface antigen and antibody to hepatitis B surface antigen in the same serum as well as useful marker for population migration. The sera were obtained from 214 HBs Ag positive patients who are diagnosed as chronic liver disease and following up in the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The subtypes were determined by solid-phase sandwich EIA using monoclonal antibodies. Among 214 specimens, the subtype adr was 93.9%, adw was 2.8%, ayr was 0.9%, ar was 0.9%, adwr was 1.4% and ayw was not detected. There were no correlation between subtype pattern and disease. In summary, the subtype adr was prominent in our study and the difference of subtype pattern by severity of disease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o determine the prognostic value of HBs Ag subtype and relationship between subtype and disease progression, long-term follow up will be needed.

B형 간염 표면항원(HBsAg)의 4가지 주요 아형 조사를 통해 HBsAg과 B형 간염표면항체가 모두 양성인 환자에서 항원과 항체의 아형이 다름을 밝힘으로 항원-항체 공존을 이해하게 되었으며, 감염경로를 추적하는 역학적 조사, 인구이동양상의 지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HBV 아형에 관한 연구는 전체적인 빈도의 조사나 HBsAg과 anti-HBs가 공존하는 경우에서 아형이 가지는 의미에 대한 것이 전부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만성 간질환으로 진단받고 경과추적중인 HBsAg 양성인 환자 214명을 대상으로 혈청에 존재하는 HBsAg 아형을 단세포군 항체를 이용한 혈청학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214명의 검체중 206명(93.9%)에서 adr, 6명(2.8%)에서 adw, 2명(0.9%)에서 ayr, 2명(0.9%)에서 ar, 3명(1.4%)에서 adwr로 나타났으며 ayw는 한 례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다. 아형과 질환의 중증도 사이에는 유의한 연관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adr이 가장 많고 질환의 중증도와 아형간에 유의한 연관성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아형이 만성 B형 바이러스 간염의 간경변증이나 간세포암으로의 진행과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기 위해서는 좀 더 연구를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