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tilization of Nutrients in the Rumen and Rumen Microorganisms by Dietary Energy and Protein Source

에너지와 단백질(蛋白質) 공급원(供給源)에 의(依)한 반추위내(反芻胃內) 영양소(營養素) 이용성(利用性) 및 반추위미생물(反芻胃微生物)에 관(關)한 연구(硏究)

  • Chee, Sul Ha (Dept. of Animal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m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 Cheol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Jeong, Ha Ye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지설하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축산학과) ;
  • 이상철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정하연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Published : 1996.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etary energy and protein sources on the rumen microbial population of sheep.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the follows; 1. Ruminal pH was highest in sheep fed the diet rapidly degraded in the rumen(F-F) as a energy (barley plus beet pulp) and protein source (rapeseed meal), and lowest in the diet (F-S) of rapidly degradable energy source plus slowly degradable protein source (corn gluten meal + cotton seed meal) without affecting by postfeeding time. 2. Ruminal ammonia concentration was higher in corn (slowly degradable) for energy source and rapeseed meal (rapidly degradable) for protein source (S-F) than others, and abruptly increased at 1 hr after feeding regardless of treatments. 3. Concentration of ruminal total volatile fatty acid, acetate and propionate were highest in F-S and peaked at 1 hr after feeding firstly and formed second peak at 9hrs, respectively. 4. Digestibilities of the proximates and ADF were not affected by treatment but NDF was highest in F- F. 5. Nitrogen retention was highest in S-F and lowest in F-F and F-S. 6. Digestibility and metabolizability of energy, contents of OCP, TDN, DE and ME were not affected by treatment.

본(本) 연구(硏究)는 에너지와 단백질(蛋白質) 공급원(供給源)에 따른 반추위내(反芻胃內) 영양소(營養素) 이용성(利用性) 및 반추위(反芻胃) 미생물(微生物)과의 관계(關係)를 조사하고자 에너지원중 반추위에서 느리게 분해되는 옥수수와 빠르게 분해되는 보리와 beet pulp를 사용하고 단백질원중 빠르게 분해되는 채종박과 느리게 분해되는 옥수수 글루텐과 면실박을 이용 하고, $2{\times}2$요인 시험으로 설계하여 처리당 면양4두를 공시하여 소화율, 반추위 성상 및 미생물 수를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이 요약되는 결과를 얻었다. 1. 반추위내(反芻胃內) pH는 사료급여후(飼料給與後) 경과시간에 관계없이 F-F구가 가장 높았고, F-S구가 가장 낮았다 2. 반추위내(反芻胃內) 암모니아 농도는 S-F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사료급여 직후 급격히 증가하여 1시간째 최고에 달하였다가 이후 급격히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사료(飼料) 급여 직전에 다시 상승하였다 3. 반추위내(反芻胃內) 총 휘발성지방산, 초산, 프로피온산 및 뷰틸산 농도는 F-S구가 가장 높았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경향은 1~3시간대에서 1차 peak를 이룬 후 9시간대에 2차 peak를 형성하였다. 4 시험사료(試驗飼料)의 일반성분 및 ADF소화율을 처리간에 영향이 없었으나 NDF소화율은 F-F구가 가장 높았다. 5. 질소축적율(窒素蓄積率)은 S-F구가 처리구중 가장 높았으며 F-F 및 F-S구가 가장 낮았다. 6. 시험사료(試驗飼料)의 대사율(代謝率), DCP, TDN, DE 및 ME 함량(含量)은 처리구간에 영향이 없었다. 7. 총균수(總菌數)는 사료급여후 3시간때 까지 전처리구 공히 증가하였다가 점차 감소하였고, 전체적으로 보면 F-F급여구가 $7.16{\times}10^{11}$ 으로 가장 많았으며 F-S구가 $2.85{\times}10^{11}$ 으로 가장 적었다. 8. Cellulolytic박테리아 수(數)는 S-S급여구가 다른 급여구보다 많았으며, 그 외 기능별 미생물수(微生物數)는 처리간에 차이를 볼 수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