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ought Estimation Model Using a Evaporation Pan with 50 mm Depth

50mm 깊이 증발(蒸發) 팬을 이용한 한발 평가 모델 설정


Abstract

Imaginary grass field was assumed suitable as the representative one for simplified estimation of local drought, and a moisture balance booking model computing drought was developed with the limited numbers of its determining factors, such as crop coefficient of the field, reservoir capacity of the soil, and the beginning point of drought as defined by soil moisture status. The maximum effective rainfall was assumed to be the same as the available free space of soil reservoir capacity. The model is similar to a definite depth evaporation pan, which stores rainfall as much as the available free space on the water in it and consumes the water by evaporation. When the pan keeps water less than a certain defined level, it is droughty. The model simulates soil moisture deficit on the assumed grass field for the drought estimation. The model can assess the water requirement, drought intensity, and the index of yield decrement due to drought. The influencing intensity indices of the selected factors were 100, 21, and 16 respectively for crop coefficient, reservoir capacity, and drought beginning point, determined by the annual water requirements as influenced by them in the model. The optimum values of the selected factors for the model were respectively 58% for crop coefficient defined on the energy indicator scale of the small copper pan evaporation, 50 mm for reservoir capacity on the basis of the average of experimentally determined values for sandy loam, loam, clay loam, and clay soils, and 65% of the reservoir capacity for the beginning point of drought.

한발 간이 평가에 가상의 초지가 적합하다는 전제하에, 관여 인자를 작물 계수, 토양의 저수능, 토양 수분 상태로 정의되는 한발 개시점으로 제한하여, 토양 수분 회계장부 법으로 한발 전산 모델을 개발하였다. 최대 유효 강우는 토양 저수능 중에 잔여량과 같다고 전제 하였는데, 이 모델은 일정 깊이 개방통에 강우 최대 수용력이 수면 위 여유 공간 만큼인 것과 유사하며 이 통에 저장된 물이 증발하여 미리 규정한 수위 이하로 되면 한발로 취급함과 같다. 이 모델은 한발 평가를 위하여 전제한 가상 초지의 수분 부족을 추적하는데, 물 요구량, 한발 강도, 한발에 의한 수량 감소 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 선정된 인자의 영향 강도 비율을 이 모델에 의한 년간 필요 개량을 고려하여 계산하면, 작물계수 100, 토양 저수능 21, 한발개시점 16이었다. 이 모델에서 선발된 인자의 최적값은 작물 계수는 대형 증발계 증발량의 0.85배였고, 토양 저수능은 사양토 양토 식양토와 식토에서 실측 결과의 평균은 50mm 였으며, 한발 개시점은 저수능의 65% 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