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성지방에서 시설재배지와 일반 밭토양의 화학성 비교

Comparison of Soil Chemical Properties between Plastic-House and Upland in Hoengsung Area

  • 고창덕 (강원도 횡성군 농촌지도소)
  • 발행 : 1996.12.30

초록

현재 우리나라 전역에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풀라스틱하우스 내 토양의 염류집적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강원도 횡성지역의 풀라스틱하우스 재배토양과 노지 일반 밭토양의 화학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풀라스틱하우스 재배토양의 유기물함량 평균을 43g/kg으로서 일반 밭토양의 유기물 함량 평균(25.8g/kg)의 1.7배, 전국 시설재배지노양의 유기물함량 29g/kg의 1.5배나 많았다. 2 풀라스틱하우스 재배토양의 유효인산함량은 평균 893.3mg/kg으로 밭토양 보다 4.9배 많았고, 최고1663mg/kg에서 최저 162mg/kg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는 강원도 시설재배토양의 평균함량 1053mg/kg보다는 낮았으나 전국 평균 861mg/kg보다는 약간 높았다. 그리고 일반 밭토양의 유효인산함량은 평균 183mg/kg으로 전국 밭토양 평균인 231mg/kg보다는 낮았다. 3. 치환성 염기는 풀라스틱하우스 재배토양에서 K, Ca, Mg이 각각 0.5, 6.8, 1.6 cmol/kg 이었는데, 밭토양에서는 각각 0.5, 2.3, 2.5 cmol/kg으로 $K^+$은 같은 수준이었으나 $Ca^{{+}{+}}$은 시설재배토양에서 3배 높았고 $Mg^{{+}{+}}$은 오히려 밭토양이 시설재배토양 보다 1.6배 더 많았다.

Accumulation of soil chemical components in plastic-house is serious problem in Ko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olve the problem by comparing the content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plastic-house with that of upland field.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P_2O_5($ in plastic-house soil were higher than that of upland field. Particularly, organic matter content in plastic-house soil (43g/kg) was 1.7times higher than that of upland soil (26g/kg), and content of available $P_2O_5($ (893mg/kg) in plastic-house: soil was 4.9 times higher than that of upland soil(183mg/kg). The content of exchangeable K, Ca and Mg in plastic-house soil were 0.5, 6.8 and 1.6cmol/kg and that of upland field soil were 0.5, 2.3 and 2.5cmol/kg, respective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