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리질비료(加里質肥料) 연용(連用) 고추재배(栽培) 밭토양(土壤)의 치환성가리함량(置換性加里含量) 변동양상(變動樣相) 예측방법(豫測方法)

Prediction Model for Accumulation and Decline of Exchangeable Potassium in Upland Soil with Long-Term Application of Fertilizer Potassium

  • 발행 : 1996.12.30

초록

가리비료(加里肥料)의 시비(施肥)수준이나 퇴비(堆肥) 및 퇴비 계분병용여부(鷄糞倂用與否)에 따른 밭토양(土壤) 치환성가리함량(置換性加里含量)의 장기변동양상(長期變動樣相)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고평통(高坪統) 토양(土壤)에서 치환성가리함량(置換性加里含量)이 각각(各各) 1.68, $1.13cmol^+/kg$인 두 필지(筆地)를 선정하여 포장에서 고추를 연작(連作)으로 3년간 재배(栽培)한 시험결과(試驗結果)에서 갈이흙중의 치환성가리함량(置換性加里含量) 변동양상(變動樣相)을 조사연구(調査硏究)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고추재배후(裁培後) 토양중(土壤中) 치환성가리함량(置換性加里含量)은 시험전(試驗前) 토양(土壤)의 가리함량(加里含量)이 $1.68cmol^+/kg$이었던 토양(土壤)은 가리기준(加里基準) + 퇴비(堆肥) > 가리기준(加里基準) + 계분(鷄糞) > 가리기준량(加里基準量) > 퇴비(堆肥) > 가리기준량(加里基準量) > 무가리(無加里) 순으로 많았고, 시험전(試驗前)과 토양(土壤)의 가리함량(加里含量)이 전국 고추재배(栽培) 토양(土壤)의 평균함량(平均含量) $1.07cmol^+/kg$과 유사한 $1.13cmol^+/kg$ 이었던 토양(土壤)은 가리기준(加里基準)+퇴비(堆肥) > 가리기준(加里基準)+계분(鷄糞) > 가리기준량(加里基準量) > 가리기준반량(加里基準半量) > 퇴비(堆肥) > 무가리(無加里) 순으로 많았다. 2. 가리(加里) 시용량(施用量)에 따른 시험후(試驗後) 토양중(土壤中) 치환성가리함량(置換性加里含量)의 변화율은 시험전(試驗前) 토양(土壤)의 가리함량(加里含量)이 고저(高低)에 관계없이 무가리(無加里), 가리기준반량(加里基準半量), 퇴비시용(堆肥施用) 처리구(處理區)는 현저히 감소한 반면, 가리기준(加里基準) + 퇴비(堆肥), 가리기준(加里基準) + 계분처리구(鷄糞處理區)에서는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식질계 고평통(高坪統) 토양(土壤)에서 고추연작재배전(連作栽培前) 갈이흙중(中) 치환성가리합량(置換性加里含量) ($K_0$)일 때에 일정재배년차후(一定栽培年次後) 처리별(處理別) 갈이흙중 치환성가리함량(置換性加里含量)($K_t$)은 다음과 같은 모형식(模型式)에서 추정(推定)할 수 있다. $$Kt=K_0A^t+B\sum^{t-1}_{n=0}A^n$$ 단, Kt : t년후 토양(土壤)의 치환성가리함량(置換性加里含量)($K_0$) : 고추재배전(栽培前) 가리흙의 치환성가리함량(置換性加里含量), A와 B : 작물(作物) 및 시용(施用)하는 가리함유물질(加里含有物質) 및 토양특성(土壤特性)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수 또는 계수).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de of changes in exchangeable K contents in the soil under the continued(for three years) application of different levels of K fertilizer(KCl) with and without application of conventional compost(CC) and chicken-dung derived compost (CDC) for red pepper cultivation at two field parcels with different exchageable K contents on Gopyong silty loamy soil. The application of KCl at standard rate for red-pepper resulted in the increase in exchangeable K in the soil after each harvest of the crop. while no application of K and the application of KCl at one half of the standard rate tended to lower the exchangeable K in top soil with the cultivation of the crop. The application of compost in addition to KCl ammplified the difference in exchangeable K in the soil before and after the harvest of each crop. An equation could resonably well predict the exchageable K content in top soil after the years of crop cultivation, under different treatments. were develop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