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ffecting the Early Natural Regener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after Forest Works at Mt. Joongwang Located in Pyungchang-gun, Kangwon-do

강원도(江原道) 평창군(平昌郡) 중왕산(中旺山)에서 산림작업(山林作業) 후(後) 소나무의 초기(初期) 천연(天然) 갱신(更新)에 미치는 요인(要因)

  • Park, Pil Su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Don Ko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필선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 이돈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1996.05.10
  • Published : 1996.09.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early natural regener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Seed germination, survival and height growth of the pine seedlings were examined at four experimental plots of P. densiflora forests including forest roadside. Plots I and III were thinned in 1992, plot II was treated with hexazinone in 1993 after seed tree method was applied in 1982 and 1989. Seedlings emerged after thinning and the rate of their emergence depended on forest floor conditions. Seedling survival was related with light conditions, herbaceous vegetation, and degrees of rainfall. More seedlings emerged in forest hauling roads than within the forest because soil scarification due to logging provided better conditions for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Seed supply was enough, but germination rate was very low in the forest compared with that in the greenhouse because micro-environments such as organic layer and herbaceous plant acted as limiting factors. Weed control was needed for 4 to 5 years until seedlings grew upto about 50cm in height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herbaceous plants. But 10-40% coverage of herbaceous vegetation was needed to protect small seedlings from heavy rain. Forest works such as thinning and logging, over 40% of light were important factors to help the pine regeneration. However, over 70% coverage of herbaceous vegetation, and heavy rain inhibited rather survival and growth of pine seedlings.

소나무의 초기 천연 갱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에서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3개의 조사지와 1개의 임도 지역에 시험구를 설치하여 소나무의 발아와 치수의 묘고, 여름을 지나는 동안의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조사지 I과 III은 1992년에 간벌을 실시한 곳이고, 조사지 II는 1982년과 1989년에 모수림 작업을 시도한 후, 1993년까지 헥사지 논으로 지피 식생 처리를 한 곳이다. 세 조사지는 서로 다른 시기에 산림 작업의 형태로 교란이 일어난 곳이다. 소나무 치수는 간벌이 일어난 후에 나타났으며, 치수의 발생은 지피 식생이 적은 곳에서 잘 나타났다. 특히 산림 작업에 의해 토양이 드러난 곳인 작업로에 소나무 치수의 발생이 많았으며, 상층 수관의 울폐도가 낮은 곳에서 생장이 좋았다. 하층 식생은 소나무 치수의 발생과 생장에 제한요소로 작용하나 약 10~40%의 초본류는 소나무 치수를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여름철의 집중호우는 주위에 초본이 없는 경우 완전히 뿌리를 내리지 못한 소나무 치수를 비에 떠내려가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소나무 치수가 잘 성장하기 위해서는 묘고가 초본류의 높이인 약 50cm에 달하는 4~5년까지 제초 작업이 필요하다. 이 지역에서 소나무 천연 갱신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 갱신을 도와주는 요인은 간벌과 집재 등의 산림 작업과 40% 이상의 광이었으며, 피도 70% 이상의 지피식생과 집중 호우 등은 오히려 소나무 묘목의 생존과 생장에 방해가 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산림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