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erification of Dosi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3-D Compensator with the Exit Beam Dose Profile

Exit Beam Dose Profile을 이용한 3차원 보상체의 성능확인

  • 이상훈 (경기대학교 이과대학 물리학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 이병용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 권수일 (경기대학교 이과대학 물리학과) ;
  • 김종훈 (경기대학교 이과대학 물리학과) ;
  • 장혜숙 (경기대학교 이과대학 물리학과)
  • Published : 1996.12.01

Abstract

Dose compensators have been widely used in radiotherapy fields. But, few reliable verification methods have been reported. We have developed the verification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dose compensator using exit beam dose profile. The exit beam dose profiles were measured with and without dose compensator. For this purpose X-Omat V films and lead screened cassettes are used and dose distibutions are compared. Phantom data are collected using CT simulator(Picker, AcQ Sim) and compensator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Render Plan 3-D planning System. Aluminum Compensators are generated by computer controlled milling machine. The real dose distribution in the phantom and the exit beam dose profile can be obtained simultaneously with the films in the phantom and the opposite site of the beam. Dose compensations effects for oblique beam, parallel opposing beam and inhomogeneous human phantom can be obtained using above tools. And we could simate those effects with exit beam dose profile using the method that we have developed in this study.

방사선 치료분야에서 선량 보상체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그 보상효과에 대한 확실한 검증 방법은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Missing Tissue 뿐 아니라, Internal Tissue Inhomogeneity 까지 고려한 3차원 보상체를 제작하고, Exit Beam Dose Profile의 측정값과 본 연구에서 고안한 방법으로 기대값을 구해 비교함으로써 보상체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환자정보는 CT Simulator를 사용하여 얻었고, 보상체 정보는 Render Plan 3-D Planning System을 통해 얻었다. Computer Controlled Milling Machine으로 알루미늄 보상체를 제작해서 보상체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선량 프로파일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측정은 폴리스티렌 팬톰 사이에 필름을 삽입하여 팬톰 내에서의 실제 선량 분포를 구하고, 필름 카셋트를 이용해서 Exit Beam Dose Profile 을 동시에 얻었다. Oblique Beam, Parallel Opposing Beam, Inhomogeneus Human Phantom에 대해 제작된 보상체가 각각 선량보상 효과가 잘 나타남을 볼 수 있었고, 이 연구에서의 성능확인 방법을 통해 보상체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