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와 입지모형을 이용한 지방중소도시의 주거지 적지분석

A Locational Analysis by Using GIS and Allocation Model for Residential Area of Local Cities

  • 안기원 (경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유환희 (경상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
  • 김영 (경상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 발행 : 1996.06.01

초록

본 연구는 지방중소도시 근교지역의 주거입지선정을 위한 최적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용 주거지의 파악은 물론, 주거지개발 우선순위 도출을 위하여 진주시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3단계 과정을 거쳤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지형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인공위성 화상데이타를 이용한 수치화상처리기법을 통하여 토지이용현황을 파악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GIS기법 에 의한 진주시의 지형의 표고, 경사, 경사향, 법적 제한성, 인구밀도 및 지가의 평가를 통하여 가용주거지를 파악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수학적 모형을 설정하고 통계적 분석과 정수계획법의 적용을 통하여 최적 주거지 개발 후보지를 선정하고 개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방중소도시의 주거지 입지선정을 위한 가용토지의 파악, 개발우선순위의 결정 및 효율적 토지이용정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optimum residential area of small and medium local cities to be relocated in the future. In the object of study, Chinju City was chosen and it consists of three stages of application to choose the priority of residential development us well as available residential locations. In the first stage, a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ique was applied to generate the existing urban land use information from the satellite image data. In the second stage, GIS technique was used to choose the avaliable residential area by evaluating the elements for residential site allocation such as road accessibility, topographic height, slope, aspect, legal limit, population density, and land price. In the third stage, some mathematical location models were applied to identify optimum candidates of residential areas chosen by earier stages. The results were evaluated by statistical methods and integer programming to identify the development priority. We expect this procedures and the results will be able to be used as a guide-line to support housing policies of Chinju City by allocating residential sites as well as a technique to apply a locational analysis for the future residential areas of small and medium local cit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