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로냉각재계통 분기관 가상배관파단해석

  • 발행 : 1996.04.01

초록

원자로냉각재계통 기기 설계를 위한 구조해석 분야는 크게 세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번째는 원자로 냉각재계통내의 유체의 온도, 압력, 원자로냉각재계통 기기 및 유체의 자중 등을 고려하여 정적해석이 주가되는 정상운전해석, 두번째는 원자력 발전소 수명내에 부지에 발생 가능한 지진을 고려하는 내진설계를 위한 지진해석, 세번째는 원자력발전소를 다른 플랜트보다 한층 안전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원자력 발전소내의 모든 고에너지배관의 파단을 가상하는 가상배관파단해석으로 구분할 수 있다. 1986년 이전까지의 가압경수로발전소의 가상배관파단은 원자로냉각재주배관의 파단을 가상하여 동적구조해석을 수행하므로써, 극히 보수적인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파괴역학의 발전은 파단전누설기법을 정립하였으며, 이에 따라 1987년 미국의 10 CFR Part 50 Appendix A GDC 4에서는 원자력발전소 내의 모든 고에너지배관에 파단전누설기법 적용을 허용하므로써, 이들 배관의 가상배관파단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국형 표준원전인 울진원자력 3, 4호기의 참조발전소인 영광원자력 3, 4호기는 개정된 GDC 4를 적용한 최초의 가압경수로발전소로서, 원자로냉각재주배관과 12인치 이상의 일차측 분기관들의 가상배관파단을 배제하였다. 본 보고서에서는 영광원자력 3, 4호기의 참조발전소인 미국 Palo Verde발전소와 한국형 표준원전인 울진원자력 3, 4호기의 가상배관파단에 의한 원자로냉각재계통의 동적구조해석 결과를 서로 비교, 분석하므로써 개정된 GDC 4의 영향을 평가함은 물론 향후 분기관 가상배관파단해석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키워드

참고문헌

  1. ASME Boilr& Pressure Vessel, Section III ASME
  2. NUREG-1061 v.3 Evaluation of Potential for Pipe Breaks US NRC
  3. Proceeding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Pressure Vessel Technology and Nuclear Codes and Standards Effect of Tributary Pipe Breaks on Reactor Coolant System Response for YGN 3&4 J.J. LaRussa;K.Y. Lee
  4. Journal of the KNS v.27 no.3 A Study on The Thermal Movement of The Reactor Colant System for PWR K.S. Yoon(etc)
  5. T / STRUDL User's Manual GTICES
  6. ANSI / ANS -58.2 Design Basis for Protection of Light Water Nuclear Power Plants Against the Effects of Postulated Pipe Rupture ANS
  7. NUREG-0484 Standard Review Plan Section 3.6 US NRC
  8. CEN-PD-168-A Design Basis Pipe Breaks ABB-CE
  9. CE-SSA Design Certification. System80 + Standard Design ABB-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