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ilization of Mineral Oxides to Attenuate Mn-EDTA and Fluoride

산화광물을 이용한 수중의 망간-EDTA, 불소 제거

  • 현재혁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 남인영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Published : 1996.12.01

Abstract

Removal of Mn-EDTA complex and fluoride by use of hematite and ferrite, which are the by-product to be disposed of as industrial wastes, was investigated. For the comparison of removal rate, Na-bentonite known as excellent absorbent of inorganic contaminants was included in the experiments. As the results of batch mode experiments, for manganese, ferrite-A revealed 48∼65% of removal capacity, ferrite-B 46∼57%, hematite 17∼26%, while Na-bentonite showed 10∼23% of removal, depending on the initial concentration. Meanwhile, in case of fluoride : hematite revealed 53 ∼63% of removal : ferrite-A 54∼63 %, while ferrite-B did 20∼38 %. From the results, it can be postulated that the capacity of hematite and ferrite to attenuate inorganic pollutants, especially when they form complex ions, is superior to that of Na-bentonite. Consequently, the mixing of such oxide minerals with Na-bentonite will reinforce the function of Na-bentonite, especially in the undergroud liner aspect.

본 연구에서는 산업폐기물로 버려지는 hematite와 ferrite를 이용하여 Mn-EDTA와 불소의 제거에 대한 실험을 행하였다. 제거율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무기오염물에 대하여 우수한 흡착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Na-bentonite를 실험에 포함하였다. Batch형태의 실험 결과, 망간에 대하여 여러 초기농도에서 ferrite-A는 48∼65 %, ferrite-B는 46∼57 %, hematite 의 경우 17∼26%o의 제거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Na-bentonite의 경우, 10∼23%의 제거율을 나타냈다. 불소의 경우에는 hematite가 53∼63%의 제거율을, ferrite-A가 54∼63%, ferrite-B는 20∼38%를 보였다. 연구 결과 Hematite와 Ferrite가 가지고 있는 특히 complex ion을 형성하는 무기 오염 물질 제거능이 Na-bentonite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산화 광물과 Na-Bentonite 의 혼합을 통하여 차수재로서의 Na-bentonite의 역할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