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and Biodegradation of Crude oil-Degrading Bacteria in P'ohang Coastal Area

포항근해 원유분해세균의 분포 및 원유분해능

  • 이창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소 환경미생물전문연구Unit) ;
  • 권기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소 환경미생물전문연구Unit) ;
  • 서현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소 환경미생물전문연구Unit) ;
  • 김희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소 환경미생물전문연구Unit) ;
  • 오희목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소 환경미생물전문연구Unit) ;
  • 윤병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소 환경미생물전문연구Unit)
  • Published : 1996.12.01

Abstract

Sea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P'ohang coastal area during April 1995 - January 1996. The distribution of total heterotrophic bacteria and crude oil-degrading bacteria (CDB) were studied. In addition, biodegradation of crude oil was investigated through mono and mixed culture. The heterotrophic bacterial distribution was in the range of 4.1 $\times$ $10^4$- 1.2 $\times$ $10^5$ CFU/$m\ell$, respectively. The percent of crude oil-degrading bacteria against total heterotrophic bacteria was 0.05-0.54% which was lower than other marine samples reported.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distribution of crude oil-degrading bacteria in the seawater of P'ohang coastal area was highly affected by presence of petroleum hydrocarbon. Taxonomical characteristics of 26 isolat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identification were showed 7 genera which were Acinetobacter spp., Bacillus spp., Citrobacter spp., Micrococcus spp., Moraxella spp., Rhodococcus spp., and Serratia spp. Appearance of Enterobacteriaceae indicated that the seawater was polluted with wastewater. Also genus of Bacillus had predominant in CDB on P'ohang coastal area. In flask culture, biodegradation of crude oil was enhanced by addition of mixed culture of CDB.

포항근해의 정점을 대상으로 1995년 4월부터 1996년 1월까지 3개월 간격으로 종속영양세균과 원유분해세균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또한, 분리된 원유분해세균의 단일 및 혼합배양을 통하여 원유분해능도 조사하였다. 종속영양세균의 분포는 4.1 $\times$ $10^4$ - 1.2 $\times$ $10^5$ CFU/$m\ell$ 이었으며 종속영양세균에 대한 원유분해세균의 분포비는 0.05 -0.54%로서 지금까지 보필된 타지역보다 낮은 수치였다. 이 결과에서 포항근해의 원유분해세균의 분포는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석유계 탄화수소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것으로 사료된다. 원유분해능이 우수한 26 균주를 분리.동정한 결과 Acinetobacter spp., Bacillus spp., Citrobacter spp., Micrococcus spp., Moraxella spp., Rhodococcus spp., 그리고 Berratia spp. 등의 7개 속이 나타났고, 장내세균의 출현은 해수내 오수의 유입을 반영하고 있었다. 또한 Bacillus 속 균주가 포항근해의 원유분해세균의 우점종으로 밝혀졌다. 원유분해세균을 이용한 플라스크 배양에서 원유분해는 혼합배양에 의해 증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