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유역의 관속식물을 이용한 토양내의 중금속 오염원 제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limination of Heavy Metal Pollutants in the Soil by Vascular Plant in the River Area

  • 강경홍 (전주대학교 이공대학 생명과학부) ;
  • 김인성 (전주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발행 : 1996.12.01

초록

하천 주변에 서식하는 관속식물의 중금속 농축량과 서식지 토양 내의 중금속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전주시에 위치한 전주천에 서식하는 고마리, 마름 그리고 노랑어리연꽃을 이용하여 Pb, Cu, Zn 및 Fe의 생물학적 농축량을 조사하였고, 재료식물의 서식지 토양 내의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여 그 상관관계를 비교ㆍ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마리에서 중금속 농축량은 Pb의 경우 80.4~254.6$mu\textrm{g}$/g, Cu는 284.6~688.4$mu\textrm{g}$/g, Zn는 635.5~1979.4$mu\textrm{g}$/g 그리고 Fe는 1160.0~3590.9$mu\textrm{g}$/g으로 나타났다. 마름에서는 Pb, Cu, Zn 그리고 Fe에서 각각 107.8~306.0$mu\textrm{g}$/g, 282.7~963.0$mu\textrm{g}$/g, 1328.3~3546.9$mu\textrm{g}$/g 그리고 656.8~9944.0$mu\textrm{g}$/g으로 나타났고, 노랑어리연꽃에서는 140.1~193.0$mu\textrm{g}$/g, 187.7~327.3$mu\textrm{g}$/g, 1126.6~1723.6$mu\textrm{g}$/g그리고 611.7~1914.6$mu\textrm{g}$/g으로 나타났다. 재료식물 각 부위별 중금속 농축량은 일반적으로 잎<줄기<뿌리의 순서로 그 농축량이 증가하였다. 서식지에 서식한 재료식물에서의 중금속 농축 양상을 검증하기 위해서 재료식물중 고마리를 선정하여 Pb, Cu그리고 Zn의 농도를 10ppm과 30ppm으로 나누어 단독 또는 복합 처리하여 고마리 내의 중금속 농축량을 분석한 결과 재료식물의 뿌리에서 가장 높은 농축량을 나타냈고, 처리 농도에 따른 중금속 농축량을 비교하면 10ppm처리구에 비해 30ppm 처리구에서 Pb는 2.8배, Cu는 2.0배 그리고 Zn는 2.1배 높았으며 중금속 농축량은 Zn하였다. 재료식물 부위별 농축량은 Pb와 Zn의 경우 줄기<잎<뿌리의 순서로 농축량이 증가하였고, Cu는 잎<줄기<뿌리의 순서로 농축량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중금속을 조합처리한 재료 식물에서 Cu는 Zn의 흡수를 억제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서식지 토양의 중금속 함량과 식물내의 중금속 농축량을 비교하면 고마리에서는 토양에 비해 Pb는 13.2배, Cu는 73.4배, Zn는 58.7배 그리고 Fe는 13.1배로 높은 농축량을 보였으며 , 마름에서는 Pb, Cu, Zn 그리고 Fe 각각 25.3배, 98.5배, 145.0배 그리고 42.0배로 나타났고, 노랑어리연꽃에서는 11.2배, 47.5배, 87.7배 그리고 28.8배로 농축량이 증가하였다. 서식지 토양의 중금속 함량과 재료식물 내의 중금속 농축량 사이에는 정 상관관계가 있었다.

The biological magnification of Pb, Cu, Zn and Fe in vascular plant, Persicaria thunbergii, Trapa japonica and Nymphoides peltata natually grown at the river and riverside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these vascular plants and in the soil were investigated in the Chonju river, Chonju city. The biological magnification values of these metals in P thunbergii were founded as follows ; Pb, Cu, Zn and Fe were 80.4~254.6$mu\textrm{g}$/g, 284.6~688.4$mu\textrm{g}$/g, 635.5~1979.4$mu\textrm{g}$/g and 1160.0~3590.9$mu\textrm{g}$/g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 japonica, Pb, Cu, Zn and Fe were 107.8~306.0$mu\textrm{g}$/g, 282.7~963.0p$mu\textrm{g}$/g, 1328.3~3546.$mu\textrm{g}$/g and 656.8~9944.0$mu\textrm{g}$/g and in N. peltata, 140.1~ 193.9$mu\textrm{g}$/g, 187.7~327.3$mu\textrm{g}$/g, 1126.6~1723.6$mu\textrm{g}$/g and 611.7~1914.6$mu\textrm{g}$/g respectively. The amount of the biological magnification of heavy metals in the leaf, stem and root of these plants was generally increased in the sequence of leaf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