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trical and Electromagnetic Surveys on the Nanji-do Landfill

난지도 매립장 전기.전자 탐사

  • 이기화 (서울대학교 지질과학과) ;
  • 권병두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정호준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1996.12.01

Abstract

Schlumberger electrical soundings and Coincident loop time-domain electromagnetic soundings were made on the Nanji-do landfill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fills and the subsurface structure. The measured data were transformed into apparent resistivity values and then inverted in terms of 1-D resistivity models. At 6 points, both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interpreted subsurface electrical structures. Interpreted layered models from each method show a good agreement. Obtained models show that a conductive zone exist below the shallow resistive zone. Conductive zone, which is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decomposition of organic waste materials and infiltration of precipitation, is terminated by resistive zone which is considered as basement. Considering the fact that conductive zone extends to the basement and there exist no barrier layers such as clay layers, contaminant plumes are likely to flow into the groundwater directly.

난지도 매립장의 매립물 특성과 지하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 난지도 매립장 상부에서 슐럼버져 전기비저항 탐사와 동일송수신기 배열 시간영역 전자탐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6개의 측점에서는 두가지 탐사를 함께 실시하여 지하구조 해석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전기탐사와 시간영역 전자탐사로부터 구한 지하구조 모델은 서로 상당히 일치하는 양상을 보인다. 매립장의 전기비저항 구조는 천부에 높은 전기 비저항을 보이는 표층 아래에 낮은 비저항층이 존재하며, 저비저항층 하부에 다시 고비저항층이 존재하는 양상을 보인다. 중간층의 저비저항은 매립물의 분해와 강수의 유입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보이며, 하부의 고비저항층은 난지도 지역의 기반암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는 매립장 및 주변지역에서 실시된 슐럼버져 전기탐사 및 쌍극자배열 전기탐사의 결과와도 잘 대비된다. 매립장의 저비저항층이 기반암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깊이까지 발달하고 있고, 난지도 지역에 오염물질의 수직이동을 막을 수 있는 불투수성 지층이 존재하지 않는 점을 고려할 때, 매립장에서 생성된 오염물질은 난지도 매립장 지하의 지하수로 바로 유입되는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