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립자 응집반응을 이용한 C-reactive Protein의 면역 측정 법에 관한 연구

Microparticle-based Immunonassay for the Detection of C-reactive Protein in Serum

  • 김재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소) ;
  • 송은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소) ;
  • 이희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소) ;
  • 최용경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소) ;
  • 최명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도핑콘트롤 센터) ;
  • 김용호 (인제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 최인성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소) ;
  • 정태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소)
  • 발행 : 1996.06.01

초록

환자의 복수와 늑막액으로부터 p-diazonium phenylphosphorylcholine(DPPC) coupled Separose-4B affinity chromatography와 hydroxylapatite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C-reactive protein (CRP)를 분리, 정제하였다. 정제된 CRP를 토끼에게 면역화하여 항혈청을 얻고 affinity chromatography를 하여 면역항체(IgG)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면역항체를 미립자에 감작시킨 후 미립자 응집반응에 의하여 3분내에 CRP를 측정할 수 있는 간이 면역 측정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CRP측정법의 검출범위는 0.5~20mg/㎗이며, 임상 시험 결과 0.7~2.9mg/㎗에서는 강한 응집 반응을, 5.O~l3.2mg/㎗에서는 약한 응집반응을 보였고 28mg/dl이상에서는 항원 과잉으로 인한(zone of Ag excess phenomenon) 위음성을 나타냈다. 74명의 환자 혈청을 대상으로 CRP의 농도를 조사한 결과 평균치는 3.8mg/dl이었으며 대부분의 환자에서는 10mg/dl 이하의 농도로 존재하였다. 그러므로 1차 판정시 음성을 나타낸 시료라도 혈청을 5~10배정도 희석하여 재분석한다면 오차없이 CRP 를 검출할 수 있었다. 환자 혈청을 검체로 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면역측정법과 현재 수입 시판 중인 프랑스의 B사 제품과 일본의 I사 제품을 비교한 결과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평가 분석을 통하여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간이 면역 측정법은 사용이 비교적 간편하며 신빙성이 있어 CRP를 스크리닝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C-reactive protein(CRP) from ascitic and pleural fluid was purified using calcium dependent affinity chromatography of CNBr activated Sepharose-4B covalently coupled to p-diazonium phenylphosphorylcholine(DPPC) and hydroxylapitite chromatography. Polyclonal antibody was prepared from rabbit by immunizing the purified CRP. Specific immunoglobulin G was isolated using affinity chromatography and coupled to microparticles. A sensitive microparticle-based immunoassay was developed to measure CRP within 3 mins. The detection range was between 0.5mg/dl) and 20mg/dl in serum, showing strong response in the range of 0.7~2.9 mg/dl, weak response in 5.0~13.2 mg/dl and zone phenomenon over 28mg/dl. The average value of CRP in 74 samples was 3.8mg/dl and most of the values were lower than 10mg/dl .The CRP values of serum samples were determined by our microparticle-based immunoassay,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using the other commercial products(B Co., France and I Co., Japan). Good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the values obtained by our developed microparticle-based immunoassay system and those by other commercial products. Al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evaluated make our developed microparticles-based immunoassay suitable for a simple, rapid, and reliable screening of CRP in seru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