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Synchronization Method for Dubbing Signal Using SOLA

SOLA를 이용한 더빙 신호의 시간축 동기화

  • 이기승 (연세대학교 전자공학과) ;
  • 지철근 (서울방송 기술국 TV기술부) ;
  • 차일환 (연세대학교 전자공학과) ;
  • 윤대희 (연세대학교 전자공학과)
  • Published : 1996.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dubbed signal time-synchroniztion technique based on the SOLA(Synchronized Over-Lap and Add) method which has been widely used to modify the time scale of speech signal. In broadcasting audio recording environments, the high degree of background noise requires dubbing process. Since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dubbed signal ranges about 200mili seconds, process is required to make the dubbed signal synchronize to the corresponding image. The proposed method finds he starting point of the dubbing signal using the short-time energy of the two signals. Thereafter, LPC cepstrum analysis and DTW(Dynamic Time Warping) process are applied to synchronize phoneme positions of the two signals. After determining the matched point by the minimum mean square error between orignal and dubbed LPC cepstrums, the SOLA method is applied to the dubbed signal,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the corresponding phase. Effectiveness of proposed method is verified by comparing the waveforms and the spectrograms of the original and the time synchronized dubbing signal.

본 논문에서는 음성 신호의 시간축 변화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SOLA(Synchronized Over-Lap and ADD)기법을 사용하여 더빙된 신호를 본래의 음성 신호와 시간적으로 일치시키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방송 녹음의 경우, 큰 레벨의 배경 잡음등으로 인하여 스튜디오에서의 재녹음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재녹음 신호는 원래의 녹음 시간과 비교하여 대략 200msec의 시간차이를 갖게 되며, 이러한 시간차이는 화면과 음성과의 합성시 입모양이 서로 불일치하는 현상을 야기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먼저 에너지궤적을 통해 원녹음 신호와 더빙 신호간의 어절 시작점을 서로 일치시키고, 어절내의 음소 위치를 동기화시키기 위하여 LPC 켑스트럼 분석과 DTW(Dynamic Time Warping)을 적용하였다. 음소가 서로 일치하는 지점은 원래의 녹음 신호와 더빙된 신호간의 LPC켑스트럼 자승 오차가 취소로 되는 지점을 탐색함으로서 결정된다. 음성의 합성시에는 인접 프레임간의 위상 관계가 서로 일치하도록 SOLA 방법을 사용하였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모의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을 통해 시간축 보정된 음성 신호는 음성 파형, 스펙트로그램 및 청취상으로 원래의 녹음 신호와 시간적으로 서로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