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osition of Fatty Acid and Phenolic Acid in Rice with the Different Milling Fractions

제분 분획(Milling Fraction)을 달리한 쌀의 지방산 및 페놀산 함량 비교

  • 김인호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쌀이용연구센터) ;
  • 전향숙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쌀이용연구센터)
  • Published : 1996.10.01

Abstract

Fatty acid composition and phenolic acid content of rice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were analyze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trition, processing and storage of rice. Major fatty acids of rice were palmitic, oleic and linoleic acids and their respective contents were 20.0%, 33.3% and 43.0% of embryo, 17.3%, 45.1% and 34.5% of rice bran and 23.4%, 26.2% and 46.1% of milled rice. Outer fraction had a high content of oleic acid but a low content of linoleic acid in rice bran. As milling yields increased in milled rice, oleic acid content increased, but palmiti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 and linolenic acid contents decreased. Contents of free, esterified and insoluble bound phenolic acid extracts from bran were 321.0mg%, 299.7mg% and 212.4mg%, respectively. Milled rice contained 118.0mg% of free phenolic acids, 56.0mg% of insoluble bound phenolic acids and no esterified phenolic acids. Rice bran contained 86.2% of ferulic acid as a principal phenolic acid. It also contained 35.7~36.6% of sinapic and syringic acids, 16.7% of p-coumaric acid and 0.13% of vanillic acid as minor component. Contents of total phenolic acid, expressed in terms of tannic acid, among rice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was highest in embryo. It was higher in outer fraction in bran, but rarely detected as fractionation of the component with milling in milled rice.

쌀의 영양, 가공 및 저장 등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시를 목적으로 제분 분획(milling fraction) 별로 시료를 제조하여 지방산과 페놀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쌀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oleic 및 linoleic으로서, 배아는 palmitic 20.0%, oleic 33.3% 및 linoleic 43.0%의 함량을, 미강은 palmitic 17.3%, oleic 45.1% 및 linoleic 34.5%의 함량을, 백미는 palmitic 23.4%, oleic 26.2% 및 linoleic 46.4%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제분 분획별 지방산 함량은 미강의 경우 oleic은 외층일수록, linoleic내층일수록 함량이 높았다. 백미의 경우 oleic acid는 외층일수록, palmiti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 및 linolenic acid는 내층일수록 함량이 높았다. 페놀산 함량은 미강의 경우 유리 페놀산 321.0mg%, 페놀산 에스터 299.7mg% 및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212.4mg%이었다. 백미는 유리 페놀산 118.omg%,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56.0mg%이었고 페놀산 에스터는 추출되지 않았다. 페놀산의 구성성분은 미강의 경우 ferulic acid의 함량이 86.2%로 가장 높았으며 sinapic 및 syringic acid는 35.7~36.6%, p-coumaric acid는 16.7%이었고 vanillic acid는 미량 검출되었다. 백미는 ferulic acid 12.3%, sinapic acid 4.1%, p-coumaric acid 3.6%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제분 분획별로 조사한 총 페놀산의 함량은 배아가 0.18%로 가장 높았으며 미강은 외층일수록 함량이 높았고 백미는 미량존재 하였던 성분이 분획에 따라 함량이 분산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The rice caryopsis and its composition Juliano, B. O.;Houston, D. F.(ed.)
  2. Functional properties of food components Pomeranz, Y.
  3. Biologically active phytochemicals and their activities Duke, J.
  4. J. Am. Oil Chem. Soc. v.45 Antioxidant for fat and oils from canary seed : sterol and triterpene alcohol esters of caffeic acid Rhee, T.;Iida, T.
  5. 한국식품과학회지 v.23 식품 부패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천연 항균성 물질의 검색 이병완;신동화
  6. 한국농화학회지 v.38 현미의 항돌연변이 활성물질의 구성성분 김인호;전향숙;문태화
  7. 한국식품과학회지 v.28 일반계 및 다수계 미강유의 지방질 함량과 중성 지방질 조성 권경순;김현구;안명수
  8. 한국식품과학회지 v.16 통일계 및 일반계 쌀겨의 지질성분 안태희;이종옥;김동연
  9. 한국식품과학회지 v.12 미강의 지질 성분 및 저장중 지질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유정희;최홍식
  10. 한국식품과학회지 v.18 맵쌀과 찹쌀중의 지방질 함량 및 중성지방질의 조성에 관한 비교 신효선;이종용
  11. 한국식품과학회지 v.20 현미와 백미의 지질함량 및 중성 지질의 조성에 관한 연구 이희자;이현주;변시명;김형수
  12. Agric. Biol. Chem. v.34 Phenolic compounds in the fermented products I. Origin of ferulic acid in Sake Yoshizawa, K.;Komatsu, S.;Takahashi I.;Otsuka, K.
  13. J. Biol. Chem. v.226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s Folch, J.;Lees, M;Sloane-Stanly, G. H.
  1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15th ed.) A.O.A.C.
  15. J. Agric. Food Chem. v.30 Free, esterified and insoluble-bound phenolic acids(I). Extraction and purification procedure Krygier, K.;Sosulski, F.;Hogge,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