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Nutritional Components of Toha-jeot (Salt- Fermented Toha Shrimp) during Fermentation

토하젓의 숙성과정중 영양성분의 변화

  • 박원기 (동신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 박영희 (동신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 박복희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희경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6.08.01

Abstract

Changes i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Toha-jeot, salt-fermented Toha shrimp(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D_{E} H_{AAN}$), which was salted with 20%(w/w) sodium chloride and fermented during 60 days at $4\pm1^{\circ}C$ were investigated.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in Toha-jeot, of which glutamic acid, leucine, Iysine, arginine, glycine and alanine occupy the majority, in order of abundance, increased gradually up to 50 days of fermentation. Most of the nucleotides were decomposed to hypoxanthine; thus ATP and ADP were not detected. Fermentation decreased inosine, IMP and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and increased 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of Toha-jeot. Palmit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fatty acid, followed by palmitoleic acid, linoleic acid, EPA and stearic acid. Among the mineral constituents of Toha-jeot, Na and Ca were dominantly occupying. The Hunter "L" and "b" values of Toha-jeot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while "a" value remained unchanged.

토하(Caridina dentiulata dentiulata $D_{E}$ $H_{AAN}$)를 식염 20%로 염장하고 $4\pm1^{\circ}C에서$ 60일 동안 숙성시킨 전남의 전통발효식품인 토하젓의 숙성과정 중 영양성분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하젓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는 숙성 50일에 최고로 증가하였고 구성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leucine, lysine, arginine, glycine 및 alanine의 순이었다. 대부분의 핵산관련물질은hypoxanthine으로 분해되 었으나 ATP와 hnP는 검출되지 않았고 inosine과 IMP는 감소하였다. 숙성과정 중 지방산의 변화로는 포화지방산은 약간 증가 경향을 보였으나 불포화지방산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고, 구성 지방산 중에서 palmit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palmitoleic acid, linoleic acid, EPA 및 stearic acid의 순이었다. 금속이온의 함량으로는 Na과 Ca이 현저히 많았으며 숙성과정 중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토하젓의 색도는 숙성이 진행되어감에 따라 명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으나 적색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다.

Keywords

References

  1. 동물편(새우류) v.19 한국동물도감 김훈수
  2. 광주시사 v.2 박원기
  3. 한국영양식량학회지 v.23 토하로부터 추출, 제조한 chitin, chitosan의 특성 박원기;김희경;김광윤;범희승;김지열
  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v.2 A.O.A.C.
  5. Waters 아미노산분석 PICO·TAG system Waters Associate
  6. 한국영양식량학회지 v.22 전남산 젓갈의 지방산 조성 박복희;박영희
  7. 한국수산학회지 v.18 저식염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5. 저식염 멸치젓 및 조기젓의 가공조건 차용준;이응호
  8. Bull. Japan Soc. Sci. Fish. v.40 Distribution of nitrogeneous constituents in the muscle extracts of eight species of fish Konosu, S;Watanabe, K.;Shimizu, T.
  9. 한국수산학회지 v.9 새우젓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정승용;이응호
  10. 제10회 키틴·키토산 심포지움 초록 토하젓의 숙성과정중 chitin oligosaccharides 생성 박원기;박영희;김희경;박복희
  11. 한국수산학회지 v.19 저식염 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하진환;한상원;이응호
  12. 한국식품과학회지 v.17 밴댕이 및 주둥치젓의 정미성분 구재근;이응호;안창범;차용준;오광수
  13. 한국수산학회지 v.26 우렁쉥이 이용에 관한 연구. 5. 우렁쉥이 젓갈의 제조 및 품질평가 (I) 이강호;조호성;이동호;육지희;조영제;서재수;김동수
  14. 한국식품과학회지 v.9 꼴뚜기젓의 정미성분 이응호;성낙주
  15. 강릉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윈논문 수산 마이용 자본 중의 존재하는 항균성·항산화성 및 항변이원성 물질 검색 장미화
  16. 한국식품과학회지 v.18 시판젓갈류의 지방산 조성 이응호;오광수;이태헌;안창범;차용준
  17. 한국식품과학회지 v.27 엽삭젓 제조중의 미생물 및 화학성분의 변화 양호철;정희종
  18. 한국수산학회지 v.19 저식염 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9. 저식염 새우젓의 제조 및 풍미성분 이응호;안창범;오광수;이태헌;차용준;이근우
  19. 한국수산학회지 v.15 담수어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4. 천연산 잉어 및 가물치의 유기산, 당류 및 무기질 양승택;이응호
  20. 식품성분표 농촌진흥청 농촌영양개선연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