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 Reform Measure and Present Situation of Color Education in Fine Art and Design College

국내 미술.디자인 계 대학의 색채교육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곽대웅 (홍익대학교 조형대학 산업공예과)
  • Published : 1996.02.01

Abstract

"Color" education aimed at cultivating creativeness and expressive techniques in the education of visual art, in the college of art and design, should be balanced with "form" education; nevertheless, the present situation at Korean universities is such that the overall environments of "color" education are far too inferior to those of "form" education.The problem is, among other things, that the curriculum of visual art education is centered around formal education; in addition, color education courses consist mostly of theoretical issues, not experimental, first-hand-experience-oriented activities that are best sui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of color as a visual language,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expect the efficiency of education.Particularly, it is a serious problem that the courses dealing with color are not offered in a step by step fashion, from the most elementary, to the intermediate, working up to the most advanced level. Another problem is that those people involved in color education seldom have an expertise in their area; furthermor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educational tools, and the content of the texbooks are far from being ideal.Moreover, it is a grim reality that most color theory courses that have been offered end up being a lecture of "general, basic" color theories, ignoring the students' diverse specialization areas.As a way of normalizing color education, rationalizing the curriculum and initiating the professorship exclusively teaching color education have to be introduced, so that we can increase the depth of color education and individualize the contents of color education according to the students' needs. It is believ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color-education-only" professorship will greatly facilitate our effort to devise an efficient educational method, to determine the scope of individualized color education, and to improve the ovarial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facilities, instruments, and teaching materials) necessary for an in-depth education.ments, and teaching materials) necessary for an in-depth education.

대학의 조형예술 교육에서 창의력의 배양과 표현기술의 역량을 양성하기 위한 색채교육은 형태교육과 평형을 이루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대학의 색채교육 현황을 살펴보면 형태교육에 비하여 색채교육의 모든 여건은 열악한 상태에 있다. 그 문제점은 우선 조형예술 교육의 교과과정이 형태교육중심으로 되어있을 뿐만 아니라, 색채교육 과목은 조형언어로서 색채언어의 특성에 맞는 실험적 체험교육으로가 아니라 이론과목 일변도로 이루어져 그 교육 효율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에 있다. 선진국 대학과 국내 대학의 교과과정에서 색채과목을 비교해 보면 국내 대학이 개설종목이나 학점 수와 수업시간 수의 배당에서 모두 열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발견된다. 특히 색채 교과목이 기초과정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점이다. 또한 색채교육 담당자의 전문성이 희박하며, 교육환경 및 교육도구의 교재의 충실성이 매우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지녔다. 뿐만 아니라 전공영역의 구분에 관계없이 일반적 기초 색채이론의 강의로 머물고 있는 폐단이 크다. 따라서 색채 교육의 정상화를 위하여서는 색채교육이 형태 중심의 교과목의 비중에 상응하는 실험실습의 시행과 교육량을 지닐 수 있도록 하는 교과과정의 합리화와 색채교육 전담 교수 제를 도입하여 교육의 심도를 높이며, 세분된 전공에 따른 색채교육내용의 차별화를 꾀해야 한다. 특히 색채교육 전담교수제도의 도입은 효율 있는 교육방법, 전공별로 적합한 교육범위의 설정, 심도 있는 교육을 위한 교육환경(시설 및 도구, 교재)의 개선 등 종합적인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가장 빠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