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포먼스.이벤트의 결합체로서 건축환경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as a Combination of Performance and Event

  • 김주미 (원광대학교 산업디자인 학과)
  • 발행 : 1996.02.01

초록

전환기적 시대상황의 인식과 뉴 패러다임에 기초하여 미래 건축환경의 변화를 예측하고 그에 대응할 수 있는 건축언어와 새로운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었으며, 그 연구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예술 속에서 공간, 인간의 신체, 그리고 움직임을 재해석하고 그 예술적 의도를 환경디자인과 결합시켜 퍼포먼스·이벤트건축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건축환경은 물질들만의 집합보다는 공간, 움직임, 우연적 상황 그리고 이벤트들의 결합체로서 보았다. 또한 퍼포먼스장소로서의 환경을 이해함과 동시에 디자인 행위자체를 퍼포먼스 과정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인간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항상 반응하며 스스로의 조절을 통해 적응하는 유기체적 시스템이다. 건축 또한 현시대의 불확정적인 인식체계와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구조, 테크놀러지의 발전과 함께 인간의 행위, 활동이 결합되어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동적 시스템으로 설명되었다. 넷째, 본 연구자는 종래 모더니즘 디자인에서의 형태와 기능의 인과론적, 기계론적 조형태도에서 벗어나 상대론 적, 유기론 적 관점을 취하과자 하였다. 특히 탈 물질적인 환경의 개념을 강조하였으며 형태와 기능의 상호 텍스트 성, 그리고 시간의 흐름 속에서 상호변화 가능성을 지원할 수 있는 탈 프로그램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퍼포먼스·이벤트건축의 전략은 인간의 자율적 기능의 회복과 예술로서의 환경을 어느 정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개념이라고 보았으며, 시스템적 세계관으로의 전환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architectural language and design strategies that would anticipate and incorporate new historical situations and new paradigms to understand the world. It consists of four sections as follows: First, it presents a new interpretation of space, human body, and movement that we find in modern art and tries to combine that new artistic insight with environmental design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performance-event architecture. Second, it conceives of architectural environment as a combination of space, movement, and probabilistic situations rather than a mere conglomeration of material. It also perceives the environment as a stage for performance and the act of designing as a performance. Third, in this context, man is conceived of as an organic system that responds to, interacts with, and adapts himself to his environment through self-regulation. By the same token, architecture should be a dynamic system that undergoes a constant transformation in its attempt to accommodate human actions and behaviors as he copes with the contemporary philosophy characterized by the principle of uncertainty, fast-changing society, and the new developments in technology. Fourth, the relativistic and organic view-point that constitutes the background for all this is radically different from the causalistic and mechanistic view that characterized the forms and functions of modernistic design. The present study places a great emphases on dematerialistic conception of environment and puts forth a disprogramming method that would accommodate interchangeability in the passage of time and the intertextuality of form and function. In the event, performance-event architecture is a strategy based on the systems world-view that would enable the recovery of man's autonomy and the reconception of his environment as an object of ar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