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장고 디자인의 인간공학적 평가

Ergonomic Evaluation of Refrigerator Design

  • 박재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인간공학연구실) ;
  • 황민철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인간공학연구실) ;
  • 박세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인간공학연구실) ;
  • 김명석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 학과)
  • 발행 : 1996.02.01

초록

디자이너들은 어떤 제품의 크기, 모양 혹은 인터페이스 부분을 설계해야 하는데 그것들이 사용자에게 맞도록 하려면 인간공학 원칙과 데이터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냉장고를 비롯한 가전제품 분야에서는 실제 작업에 쓰일만한 인간공학 관련 디자인 원칙이나 데이터들이 거의 없는 형편이다. 냉장고 디자이너들이 가장 고민하는 문제 가운데 하나인 냉장실과 냉동실의 레이아웃 결정만 하더라도, 서로 다른 레이아웃의 차이를 비교할만한 객관적인 방법이 없다. 그 외에 도어 손잡이를 어떤 모양으로 어느 위치에 부착할 것이지, 조작패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어떻게 설계할 것인 지 등에 관한 모든 것이 아직까지는 디자이너들의 직관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냉장고 디자이너들의 의사결정 과정을 도와주기 위해 몇 가지의 인간 공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냉장고 디자인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였다. 근전도 분석방법은 냉장고의 선반 높이와 냉장실, 냉동실의 레이아웃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3차원 동작분석은 도어의 손잡이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비데오 분석에 의한 사용성 평가의 조작패널의 문제점을 찾아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인 인체측정 데이터에 근거한 냉장고의 적정 설계치수 결정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향후 냉장고 디자인 개발에 참조 될 수 있을 것이다.

Designers often hesitate to decide the shape, size, and layout of a product. Though ergonomic principles and data are absolutely needed in this process, they don have enough guidelines to refer. For the refrigerator designers, they also are not convinced of their decisio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reezing and refrigerating rooms, the height of shelves, the shape of door-handle, etc. To support the refrigerator design, we applied several ergonomic methods to the evaluation of refrigerator. EMG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load of users lumbar muscle. Based upon the experimental EMG data, we developed a model to estimate the relative load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refrigerator shelves. Two different layouts of a refrigerator, R/F and F/R styles, were compared with the model. A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method was used to evaluate the users motion of using a refrigerator. Ten door-handles with the different shapes and positions were evaluated by tracking the rotations of the users arm. Video protocol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user interface of a control panel in a refrigerator. Finally, we suggested several ergonomic design guidelines based on the facts found in this research and the anthropometric data of the Korean ad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ergonomic design of refrigerato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