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보의 휨 설계 및 연성능력

Flexural Design and Ductile Capacity of Reinforced High Strength Concrete Beams

  • 신성우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
  • 유석형 (대한주택공사 부설 주택연구소 연구원) ;
  • 안종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 이광수 (여주전문대건축공학과)
  • 발행 : 1996.12.01

초록

동일한 인장철근배근상태($\rho$/$\rho_b$=constant)에서 휨을 받는 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보는 보통강도의 철근 콘크리트보에 비해 더욱 취성적인 거동을 하게 된다. 본 실험결과 연성적인 파괴를 유도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강도가 830kg/$cm^2$이상일 경우 철근비를 $0.6\rho_b$이하로 배근하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콘크리트 강도가 830kg/$cm^2$ 이상일 경우 사각형응력 블록을 사용한 ACI 휨강도식의 안전율이 감소하였으며, 삼각형에 가까운 압축응력 분포를 나타내었다. 이는 콘크리트 강도가 증가할수록 응력-변형률 곡선이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재료적 성질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reinforced high-strength-concrete beam subjected to flexure moment behaves more brittly than the moderate-strength-concrete beam reinforced with equal reinforcement ratio($\rho$/$\rho_b$). Test results show that when the concrete strength exceeds 830kg/$cm^2$, the maximum reinforcement ratio should be less than $0.6{\rho}_b$ for ductile behavior (${\rho}_b$=balanced steel ratio). The ratio of flexural strength between experimental results and analytical results with rectangular stress block decrease a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increase. The shape of the compressive stress block distributed triangularly. because the ascending part of the stress-strain curve shows fairly linear response up to maximum stress in contrast to the nonlinear behavior of the medium and low strength specime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