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성토하중경감재 EPS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Load Reducing Material EPS

  • 장명순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교통공학과) ;
  • 천병식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
  • 임해식
  • 발행 : 1996.04.01

초록

도로성토 하중저감공법중의 하나인 EPS공법은 초 경량재(20~30kg/m3)로서 연약지반상에 성토재로 사용하여 지반의 유효응력 증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지지력과 침하에 대한 안정성을 쉽게 확보할 수 있고, 옹벽.교대등의 구조물 뒤채움재나 응급 복구용 채움재로 활용할 경우 토압 경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공학적 성토 재료로서 활용하기 위한 물성 시험 방법이 정확히 확립되어 있지 않고 보온 재료로서의 시험 방법 및 품질 규정만이 KS에 규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생산되는 EPS의 체계적인 토질공학적 시험 데이터 없이 성토 재료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학적 재료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강도특성, 변형특성, 흡수특성, 크리프특성 등에 대해 시험을 통하여 공학적 특성을 규명하였고, 보다 적합한 품질 규정의 제정 필요성과 일축압축강도에 의한 설계기준강도를 제안하였다.

The EPS has the unit weight of only 20~30kg/m3 and is used as one of the methods of reducing road embankment loads. Parts of it's applications are for backfill materials of structures like abutment, retaining wall, etc., to reduce horizontal earth pressure and for banking materials to secure the safety of settlement and bearing capacity by minimizing the stress Increment. However, the Korean Standards (KS) has not yet proposed any testing method for use of EPS as a engineering banking material. Only its testing and quality ordinance as a heat insulation material has been standardized. Therefore, in Korea, EPS is used as banking material without any systematic testing data as a civil engineering material. In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deals with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EPS through many laboratory tests on strength, strain, absorption, and creep. from the results achived through tests, this paper proposes the enactment of a suitable quality testing ordinance and the criteria of unconfined design strength of EPS for use as engineering material.

키워드

참고문헌

  1. 경질발포 플라스틱의 압축 시험-한국공업규격 M 3831 공업진흥청
  2.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 한국공업규격 M 3808 공업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