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of Optimal Hop Length for Fixed Radio Relay Links above 20GHz in Korea

20GHz 이상 대역에서의 국내 고정 무선중계 시스템의 최적 경로길이 설계

  • 이형수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전파공학연구부) ;
  • 김혁제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전파공학연구부) ;
  • 신동근 (한국통신공사,네트워크본부)
  • Published : 1996.08.01

Abstract

The frequency band above 20GHz is the great radio resource which has not been used. But the attenuation by atmosphere is so large that the radio systems using this frequency band must have shorter hops. There are few studies of optimal hop length for these millimetric wave radio links in Korea.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millimetric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atmosphere and estimated rain attenuation which have a great effect on hop length. Furthermore, we present a rainfall rate(mm/h) of the cities including Seoul and Pusan using the data collected by several rainfall gauges.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of obtaining the optimum hop length for millimer wave radio links based on the rain rate date.

20GHz 이상 주파수대역은 아직까지 사용하고 있지 않는 넓은 대역의 전파자원이지만 대기에 의한 전파감쇠가 심해 중계거리에 제약을 받게 되므로 단거리통신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20 GHz 이상의 주파수대역에서 어느정도의 거리에서 무선시스템의 선뢰도를보장할수있는지 연구된 적이 없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20GHz 이상 대역에서 대가중의 전파특성을 분석하고 그 중 무선 경로 길이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강우감쇠를 추정할 수 있는 계산식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강우감쇠 계산에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강우강도를 국내 측후소에서 측정된 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등 대 도시에서의 시간별 강우강도 데이터로 제시하고 이를 기 본 데이터로 하여 대도시에서의 무선 중계시스템의 최적 중계거리를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