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ath Loss Prediction in Korean Terrain Environment

한국 지형에서의 무선호출 주파수 대역의 전계강도 예측모델

  • 이형수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전자파공학연구실) ;
  • 조삼모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전자파공학연구실)
  • Published : 1996.08.01

Abstract

Path loss prediction method, one of the most essential parts in measuring the service area in mobile telecommunication, has been developed for many years. But, wave propagation depends on many kind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frequency, distance, the height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and the terrain status(buildings in large city, hilly terrain, mountain). These are the main reasons that the propagation models developed in foreign environments can not fit into Korean propagation condition. In this paper, therefore, we performed the measurement in Korean terrain environment in pager frequency band after deviding the terrain characteristics into six types. With this measured data, we derived several curves that follows the long-term wave progagation behavior and developed the wave propagftion prediction model which calculates the field strength at any point in the service area. The proposed model estimates the field strength in two categories, LOS(line-of-sight), or non LOS. We applied this model using the digital terrain data base and compared with the measured data. The result shows that the errors were between 3~9dB, which turned out to be practical.

육상 이동통신의 서비스 범위 예측에 가장 기본이 되는 전송 손실 계산 방식은 그 적용범위 및 모델도출 방법에 따라 많은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그러나, 전파는 이것이 지나가는 환경, 즉 빌딩의 특성이나, 나무, 그리고 지형형태 등에 의해 너무나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미국,일본 동 외국의 환경에서 만들어져 국내에 도입된 전파 예측모델들은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합하지 않는 점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지형을 분석하여 그 특성에 따라 여섯가지의 종류로 분류하고 각각에 해당하는 국내 지역을 선정하여 무선호출 주파수 대역에서 전계강도 측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 측정 데이타를 이용한 실험식과 함께 산악지역에서의 회절 계산식을 포함하여 가시거리 및 비가시거리를 구분하여 전계강도를 계산하는 예측모델을 만들었다. 제안된 모델을 국내 지형 데이타 베이스와 연결하여 전계강도 예측을 수행한 값과 실측된 데이타와 비교한 결과, 최소 3dB에서 최고 9dB 정도로 오차가 나타났으므로 실용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