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쑥부쟁이의 차광망 처리에 재식거리에 따른 생육 및 수량변화

Effects of Shading Net Treatment and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Fresh Leaf Yield of Aster glehni

  • 발행 : 1996.12.01

초록

울릉도(鬱陵島)에 자생(自生)하는 섬쑥부쟁이(일명:부지갱이)의 경북(慶北) 내륙지역(內陸地域) 적응성(適應性) 제고(提高)와 함께 고품질(高品質) 다수확기술체계(多收穫技術體系)를 확립(確立)하고자 $1993{\sim}1995$년(年) 3개년(個年)에 걸쳐 차광(遮光) 망(網) 처리(處理)와 재식거리(栽植距離)가 생육(生育) 및 엽수량(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섬쑥부쟁이의 내륙적응성(內陸適應性)을 증대(增大)시키기 위(爲)하여 적어도 1년차(年次) 재배(栽培)에서는 차광정도(遮光程度)를 높이는 것이 생육(生育)에 유리(有利)하였다. 2. 3년차(年次) 재배(栽培)된 섬쑥부쟁이 생엽(生葉)의 무기성분중(無機成分中) P를 제외(除外)한 N. K, Ca 및 Mg 등(等)의 함량(含量)이 차광정도(遮光程度)가 클수록 높았다. 3. 차광망(遮光網) 처리(處理)에 따른 수량(收量)은 1년차(年次) 재배(栽培)에서는 75% 차광(遮光)에서 가장 높았으며, 2년차(年次) 재배(栽培)에서는 55% 차광(遮光), 3년차(年次) 재배(栽培)에서는 오히려 무차광(無遮光)에서 가장 높은 수량성(收量性)을 보였다. 4. 재식거리(栽植距離에) 따른 재배년차별(栽培年次別)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을 종합(綜合)하여 볼 때 소식(疎植)인 $30\times20cm$ 재식(栽植)에서 고른 생육(生育) 수량성(收量性)을 나타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ways of increasing fresh leaf yield under conditions of the optimum shading net treatment and planting densities of Aster glehni. Although the most effective shading net treatment to acclimatize the plant was 75% shading in 1993, as growing years were prolonged, effects of shading net treatment was not recognized. Ca contents in 75% shading net treatment was much higher than other shading net treatments. Shading effect tend to promote their growth and fresh leaf yield in 1993 even though 75% shading net treatment did not increase fresh leaf yield in 1994 and 1995. Planting density. $30\times20cm$. showed the effectiveness fresh leaf yield for 1994 and 1995 except for 1993.

키워드

참고문헌

  1. 高試年報 主要 山菜類의 周年生産 作型開發 崔寬淳;徐淙澤;柳承烈;지광현;김수복;김진호
  2. 濟州農振年報 漢拏 山菜類 栽 培法 確立試驗 韓元琢;金泰榮;金基澤;文禎洙;宋昌順;張田益
  3. 農試論文集 v.35 no.2 有望 山菜類의 種子의 休眠打破 및 發芽促進 方法에 關한 硏究 權泰龍;趙知衡;權寧石;李承弼;崔富述
  4. 農業科學論文集 v.37 no.1 鬱陵島 취나물의 內陸適應 栽培技術 開發에 關한 硏究 權泰龍;金相國;閔基君;趙知衡;李承弼;崔富述
  5. 忠北農振年報 산나물 蒐集 및 品種保存 趙鎭泰;廷圭寅;朴種天
  6. 忠北農振年報 食用 山野菜 栽培法 試驗 趙鎭泰;廷圭寅;朴種天
  7. 忠北農振年報 食用 山野菜 및 自生觀賞樹 蒐集 趙鎭泰;崔基峻
  8. 大韓植物圖鑑 李昌福
  9. 食用 藥用 野草 朴雄圭
  10. 標準營農敎本 山菜類 栽培 農村振興廳
  11. 農事試驗硏究調査基準 農村振興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