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 J, K 주파수영역에서 $MgFe_2O_4$ 단결정의 강자성공명 연구

FMR Study of $MgFe_2O_4$ Single Crystal in S, J, K-band

  • 박만장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물리학과) ;
  • 김기현 (명지대학교 이과대학 물리학과) ;
  • 이혜정 (명지대학교 이과대학 물리학과) ;
  • 김영호 (명지대학교 이과대학 물리학과)
  • 발행 : 1996.10.01

초록

2~35 GHz(S, G, J, X, K, Q-영역) FMR(ferromagnetic resonance) 장치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FMR장치로 ESR(electron spin resonance) 표준시료 DPPH에 대한 공명흡수선을 관측한 결과 Q값이 189~1096으로 장치가 잘 제작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자성반도체 $MgFe_2O_4$ 단결정을 S, J, K-영역에서 강자성 공명실험을 한 결과 g값이 S, J, K-영역에서 각각 2.02, 1.89, 2.01, 이방성상수 $K_{1}$이 각각 $-2.9{\times}10^{4}erg/cm^{3}$, $-2.2{\times}10^{4}erg/cm^{3}$, $-2.8{\times}10^{4}erg/cm^{3}$이었다. 이들 값은 X-영역에서 보고된 값들과 잘 일치하였다.

We have manufactured FMR spectrometer over wide range(2-35 GHz). In order to test FMR spectrometer, res¬onance absorption has been measured of the standard sample DPPH. The Q vaules of absorption line are 189-1096. As a result, We noticed that FMR spectrometer has been manufactured well. FMR studies of MgFez04 single crystal have been performed at S, J, K-band. The resonance lines have been observed for the each orientation of (100) plane at 300 K. The values of the magnetic anisotropy constant $K_{1}$ and the spectroscopic spli tting g valule have been calculated from the ferromagnetic resonance curve, $-2.9{\times}10^{4}erg/cm^{3}$, 2.02 at 23.89 GHz, $-2.2{\times}10^{4}erg/cm^{3}$, 1.89 at 5.3 GHz and $-2.8{\times}10^{4}erg/cm^{3}$, 2.01 at 3.6 GHz.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