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지를 이용한 속성 저식염 멸치젓의 미생물상과 효소활성

Studies on the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y in Processing of Accelerated Low Salt-Fermented Anchovy by adding koji

  • 백승화 (원광대학교 농화학과) ;
  • 임미선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동한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발행 : 1996.12.01

초록

저식염 멸치젓을 속성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Asp. oryzae와 Bacillus sp.로 만든 zdh지를 첨가하고 숙성중 미생물상 변화와 효소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젓갈 숙성 중 미생물상은 단백질분해균과 혐기성 균수는 숙성 40일경, 호기성 균수는 20일경에 많았다. 단백질분해균과 지방질분해균, 호기성균, 혐기성 균수는 Bacillus sp. 코오지 첨가구에서 높았다. 젓갈 숙성중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활성은 숙성 20일 경에, 지방질 가수분해효소는 숙성 30일 경에 높았다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는 Asp. oryzae 코오지 첨가구가, 지방질 가수분해효소는 Bacillus sp. 코오지 첨가구에서 높았다.

To produce low salt fermented anchovy by an accelerated method with Asp. oryzae and Bacillus sp. koji, enzyme activity and variation of microflora during the 60 day fermentation were examined. Bacterial counts changed a little during the fermentation with the highest on day 40 for proteolytic and anaerobic bacteria and on day 20 for aerobic bacteria. Proteolytic, lipolytic, aerobic, and anaerobic bacteria counts were higher in the Bacillus sp. koji added anchovy paste than in others. The protease and lipase activities reached the highest point on day 20 and 30, respectively, and decreased gradually afterwards. The protease activity was higher in Asp. oryzae koji than in bacillus sp. koji, but the lipase activity was to the contrar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