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지리학 일반: 회고와 전망

The physical geography in general:yesterday and tomorrow

  • 손일 (경상대학교 지리교육과)
  • Son, Ill (Dept. of Geography Ed., Kyeong Sang Univ.)
  • 발행 : 1996.06.01

초록

해방후 50년간 우리 나라의 자연지리학 연구는 주로 지형학과 기후학에 의해 주도 되어 왔다. 자연지리학이 지니는 종합적인 학문적 성격에도 불구하고 개별 각론들이 독자적 으로 연구되어 왔고 그 연구 대상이나 연구 방법이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자연지리학 연구 의 전체적인 방향성이나 패러다임을 찾기가 힘들다. 지난 50년간 우리 나라 자연지리학 연 구중에서 지형학과 기후학을 제외한 나머지 연구를 자연지리학 일반으로 간주하고 이들 연 구를 자연지리학 총론, 토양지리학, 식물지리학, 수문지리학, 인간과 자연 환경이라는 주제로 구분해 정리하였다. 원래 자연지리학이 추구하던 통합적 접근방법이 점차 사라지고 자연지 리학 각론들이 각기 이웃한 지구과학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발전하여 왔다. 다학문적 해결책만이 유일한 대안이 되어 버린 환경 시대를 맞아, 자연지리학이 자연 환경에 대한 고 유의 통합적 접근 방법으로 재무장하여 환경 문제에 대한 주도적 학문으로 부활되기를 기대 한다.

There has been a tendency for Geomorphology and Climatology to be dominant in Physical Geography for 50 years in Korea. Physical Geography is concerned with the study of the totality of natural environment through the integrated approaches. But, an overall direction or a certain paradigm could not be found, because major sub-divisions of Physical Geography have been studied individually and the subjects and the approaches in studying Physical Geography are enormously diverse. A consensus of opinion could not also exist in deciding what kind of the sub-divisions should be included in the physical geography in general and how those should be summarized. Furthermore it would be considered imprudent to survey the studies of Physical Geography besides those of Geomorphology and Climatology due to the small number of researchers. Assuming that the rest of Physical Geographical studies with the exception of Geomorphological and Climatological studies are the Physical Geography in general, the studies of Physical Geogrpahy in general are summarized and several aspects are drown out as follows. First the descliption of all possible factors of natural environments was the pattern of early studies of Physical Geography and the tendency is maintained in the various kinds of research and project reports. Recently Physical Geographers have published several introductory textbooks or research monographs. In those books, however, the integrated approaches to Physical Geography were not sugges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are dealt with in the elementary level. Second, the authentic soil studies of Physical Geographers are insignificant, because the studies of soil in Physical Geography have been mostly considered as the subsidiary means of Geomorphology Summarizing the studies of Soil Gegraphy by physical geographers and other Pedologists, the subjects are classified as soil-forming processes, soil erosions, soil in the tidal flat and reclaimed land, and soil pollution. Physical Geographers have focused upon the soil-forming processes in order to elucidate the geomorphic processes and the past climatic environment. The results of other subjects are trifling. Thirdy Byogeygrayhers and the results of studies are extremely of small number and the studies of Biogeography in Korea lines in the starting point. But, Biogeography could be a more unifying theme for the Physical-human Geography interface, and it would be expected to play an active part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resource management. Forth, the studies of Hydrogeography (Geographical Hydrology) in Korea have run through the studies of water balance and the morphometric studies such as the drainage network analysis and the relations of various kinds of morphometric elements in river. Recently, the hydrological model have introduced and developed to predict the flow of sediment, discharge, and ground water. The growth of groundwater studies is worthy of close attention. Finally, the studies on environmental problems was no mole than the general description about environmental destruction, resource development, environmental conservation, etc. until 1970s. The ecological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were suggested in some studies of natural hazard. The new environmentalism having been introduced since 1980s. Human geographers have lead the studies of Environmental Perception. Environmental Ethics, Environmental Sociology, environmental policy. The Physical geographers have stay out of phase with the climate of the time and concentrate upon the publication of introductory textbooks. Recently, several studies on the human interference and modification of natural environments have been made an attempt in the fields of Geomorphology and climatology. Summarizing the studies of Physical Geography for 50 years in Korea, the integrated approaches inherent in Physical Geography disappeared little by little and the majol sub-divisions of Physical Ceography have develop in connection with the nearby earth sciences such as Geology, Meteorology, Pedology, Biology, Hydrology, etc been rediscovered by non-geographers under the guise of environmental science. It is expected that Physical Geography would revive as the dominant subject to cope with environmental problems, rearming with the innate integrated approaches.

키워드

참고문헌

  1. 자연지리학 강대현;노정식;조광준;최덕주;한인수;홍기룡
  2. 자연지리학 권혁재
  3. 지리학 v.1 제주도의 자연지리 김상호
  4. 지구환경 김주환;권동희;김창환
  5. 대한지리학회 회원 명부 대한지리학회
  6. 자연보존협회 연구보고서 v.10 불영사 계곡의 자연지리 박동원
  7. 자연보존협회 연구보고서 v.15 칠갑산과 계룡산에 대한 지형학적 연구 박동원;권순식
  8. 자연보존협회 연구보고서 v.13 임계지역의 자연지리 박동원;오경섭
  9. 자연지리학과 과학철학;Physical Geograpy: Its Methods and Nature 손일(역);Heines-Young,R.H.;Petch,J.R.
  10. 자연보존협회 연구보고서 v.27 월출산의 자연지리 유근배
  11. 진주교육대학 논문집 v.13 남해도의 자연환경 연구 이종문
  12. 자연지리조사법(Ⅰ) 조동규;김우관;이형호;길용현;반용부;정상림
  13. 부산교육대학 논문집 v.17 no.1 부산의 자연지리에 관한 고찰 최덕주
  14. 자연과 환경 최무웅;이현영;김주환;강승삼;조화룡
  15. Progress in Geography v.3 The role and relations of physical geography Chorley,R.J.
  16. Physical Geography: A Systems Approach Chorley,R.J.;Kennedy,B.A.
  17. National Geographer v.12 A physical geography equation Gregory,K.J.
  18. The Nature of Physical Geography Gregory,K.J.
  19. Earth(3rd ed.) Press,F.;Soever,R.
  20. Canadian Geographer v.25 Presidential address. Theories, paradigms, mapping and geomorphology St.Onge,D.A.
  21. Modern Physical Geography(4th ed.) Strahler,A.H.;Strahler,A.N.
  22. Environmental Systems: An Introductory Text White,I.D.;Mottershead;Harrison,S.J.
  23. 지리학연구 v.1 화강편마암에 발달한 적색토에 관한 연구 강영복
  24. 지리학 v.18 한국의 적색토 풍화과정의 특성 강영복
  25. 한국지형학회지 v.1 no.2 카르스트 현상의 토양지형 생성적 특성: 단양군 삼화동 지역의 사례연구 강영복
  26.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반도 화강암 풍화층에 발달된 제4기 후반의 주빙하 결빙구조에 관한 연구 권순식
  27. 서울시 보건환경 연구보고 v.21 서울시 일원의 토양중금속 오염도 조사(Ⅱ) 김교봉;황동진;성시경;손병목;이정자;박상현
  28.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천리포 사구내의 적황색 퇴적층에 관한 연구 박경
  29. 지리학 v.32 김제-정읍일대에 분포하는 뢰스상 적황색토에 대한 연구 박동원
  30.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시 교외지역의 도로변 토양오염에 관한 연구 박선엽
  31. 대한 환경공학회지 v.7 도로변 인접토양중의 납, 카드뮴, 아연 및 구리의 함량분포, 특성 박청길;이군자;이선재
  32. 지리학논총 v.24 간척지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김포 지구 간척지를 사례로- 서종철
  3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3 no.1 홍적층에 기인된 적황색토의 형태 및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신용화
  34.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14 no.3 야외에서 Splash Erosion 측정에 관한 연구 신제성;고문환;임정남
  35. 농사시험 연구보고 v.22 토양보존인자가 토양유실에 미치는 영향 신제성;신용화
  36.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7 no.2 산성암 및 중성암에 발달한 적황색토의 생성 및 분류(Ⅱ)-송정토에 관하여- 엄기태
  37. 제4기 학회지 v.3 no.3 Bt Band의 형성과정 오경섭
  38. 지리학 v.40 화강암 풍화층의 점토조성과 풍화환경 오경섭
  39. 농사시험 연구보고 v.29 no.1 산지사과원에서 경사장 및 심경별 토양유실 방지효과 오세진;정필균;고문환;김영호;김상효
  40. 대한 환경공학회지 v.10 도로변에 인접한 농경지 토양 및 작물체 중의 연오염 이석준;김장억
  41. 장안지리 v.4 no.5 단양 석회암 잔적토의 지화학적 분석 임종호
  42. 지리학논총 v.15 석회암과 고회암 지역의 지표피 복물에 관한 연구 장은미
  4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22 no.4 석회암 토양의 지형적 특성과 생성·분류 정석재;김태순;문준;엄기태
  44.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19 no.4 영남지역에 분포된 단구지토양의 특성과 생성연구 정연태
  45.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18 no.3 영남지역에 분포된 단구지토양의 특성과 생성연구 정연태;김인하
  46.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9 no.1 야산개발지의 토양침식에 관하여 정영상;신제성;신용화
  47. 경기도 보건환경연구보고 v.6 농경지 토양의 중금속 함유량 조사연구 조규홍;오조교;이진경;오문석;김영빈;임한수
  48. 지리학 v.41 경기도 지역에 분포한 화강·편마암의 풍화특성과 등급에 관한 연구 최무웅;임종호
  49.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v.5 Soil Geography: a subject transformed Bridges,E.M.
  50. Pedology, Weathering and Geomorphological Research Birkeland,P.W.
  51. Soil Publication 14 Periodic Phenomena in Landscape as a Basis for Soil Studies Butler,B.E.
  52. Soils and landforms Gerrard,A.J.
  53. Factors of Soil Formation, A System of Quantitative Pedology Jenny,H.
  54. The Soil Groups of the World and Their Development Marbut,C.F.
  55. Soil Research v.4 Some suggested units of classification and mapping, particularly for East African soils Milne,G.
  56. 효성여자대학 연구논문집 v.20 한국의 기후적 식생대 강만석
  57. 지리학총 v.12 한국의 대나무류 분포와 그 용인 공우석
  58. 대한생태학회지 v.8 한반도의 대나무류 분포와 그 환경요인에 관한 식물지리학적 연구 공우석
  59. 지리학 v.40 한반도 생물지리구의 설정과 종구성 공우석
  60. 지리학회보 v.31 지리학에서의 생물 환경 연구-생물지리학이란 어떤 학문인가?- 공우석
  61. 지리학총 v.18 한반도 생물지리구 구성종의 외관형과 분포역 공우석
  62. 한국제4기학회지 v.5 한반도 한지선호식물의 분포와 고환경 공우석
  63. 한국제4기학회지 v.6 한반도 식생 및 환경변천사-홀로세 이후 시대를 중심으로 공우석
  64. 한국제4기학회지 v.8 홀로세 중 한국의 식생사 공우석
  65. 대한지리학회지 v.30 no.1 한반도 송백류의 시·공간적 분포역 복원 공우석
  66. 지리학총 v.12 서해도서의 기후와 식생환경-어청도를 중심으로- 공우석;정상림
  67. 지리학연구 v.9 한국의 차나무 분포에 대한 기후학적 연구 공우석;정상림
  68. 생물과 자연 v.7 no.1 한국세관속식물のフロラと分に關する硏究 오수영
  69. 한국동식물도감, 식물편(계절식물) v.18 이영로
  70. 식물분류학회지 v.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이우철;임양재
  71. 조림학원론 임경빈
  72. 한국축산교육학회 v.8-9 한국에 있어서 삼림식물의 분포와 물질생산력에 관한 연구 장남기
  73. 지역개발논문집 v.13 보성 다원 입지의 자연 지리학적 분석 정상림;공우석
  74. 성균관대학 논문집 v.10 한국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정태연;이우철
  75. 鬱陵島植物調査報告書 中井猛之進
  76. 東亞植物 中井猛之進
  77. Transactions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v.69 Geographical Divisions of Korean Plants Kong,W.
  78. Biogeography: Natural and Cultural Simmons,I.G.
  79. Maria Moors Cabot Foundation Publ. Ser. 5 The Forests of China with a Survey of Grassland and Desert Vegetation Wang,C.W.
  80. Geography v.63 The new biogeography and its niche in physical geography Watts,D.R.
  81. 지리학총 v.10 손스웨이트 방법에 의한 남한의 연후적 수분수지의 지역성 강만석
  82. 지리학 v.5 Thornthwaite 방법에 의한 한국의 수분수지 김연옥
  83. 경북대학교 논문집(자연과학) v.14 상주남천유역에 대한 수리지질학적 연구 김영기;김우관
  84. 경북대학교 논문집(자연과학) v.15 낙동강유역의 수리지질학적 연구 김영기;김우관
  85.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집 v.5 금호강유역의 수류차수분류연구 김우관
  86. 경북대학교 문리학총 v.3 감천유역의 수류파수분류 연구 김우관
  87. 장안지리 v.5 no.8 가남지역 지하수의 환경 트리치움 농도분석 김종관
  88. 지리학 v.26 no.1 하천지형 발달에 관여하는 주요 변수들간의 기능적인 관계에 관한 연구 김종욱
  89. 장안지리 v.4 no.5 서울시 생활용수 수요에 관한 분석 김추윤
  90.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v.32 부산지방에서의 열수지 및 물 수지의 기후학적 추정 문승의;엄향희
  91. 지리학 v.28 no.1 수문학적 자료를 통한 화강암질 유역의 화학적 풍화특성에 관한 연구 박수진
  92. 한국지형학회지 v.1 SRC Method에 의한 산지 소유역의 부유토사 유출량 산정 박종관
  93. 지리학 v.33 소유역 분지의 홍수특성과 지형 변수와의 관계 손일
  94.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수문특성의 변화를 추적하기 위한 Lumped 모형의 개발 v.29 no.3 손일
  95.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소유역 곡저부 천중지하수의 수위와 흐름연구 안중기
  96. 지리학 v.29 no.3 우리 나라 충적하천 하상경사의 수리기하 특성에 관한 연구 우효섭;유권규;박종관
  97. 지리학논총 v.8 지형·기후변수와 홍수량의 관계에 관한 연구 유근배
  98. 지리학 v.11 대구를 중심한 낙동강 유역 분지의 물 수지 연구 이현영
  99. 지리학총 v.10 남한의 물 수지에 관한 연구 정상림
  100. 수도여자사범대학 논문집 v.6 북한강유역 하계망 발달의 정량적 분석 정장호
  101. 수도여자사범대학 논문집 v.7 금강유역하계망발달의 정량적 분석 정장호
  102. 지리학총 v.10 트리듐을 트레사로 이용한 일본 那須 선상지의 지하수의 유동 최무웅
  103. 지리학보 v.5 Tritium 농도 분석에 의한 선상지 지하수의 유동 최무웅
  104. 장안지리 v.3 no.1 충적층 지하수의 습윤, 건조기간중 지하수수위 예측 모형 최무웅
  105. 건국대학교 교육논총 v.12 물분쟁 방지를 위한 적정우물간격과 적정양수량 결정 최무웅
  106. History of Hydrology Biswas,A.
  107. Horizons in Physical Geography Hydrological and Fluvial Processes: Revolution and Evolution Walling,D.E.;Clark,M.J.(ed.);Gregory,K.J.(ed.);Gurnell,A.M.(ed.)
  108.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v.3 The changing scope of geographical hydrology in Great Britain Ward,R.C.
  109. 지리학연구 v.3 충북수해지역분석 강승삼
  110. 경희대학교 지역개발논문집 v.9 영산강유역의 홍수해 강승삼
  111. 부산대학교 개교 15주년 기념논문집 양산천 수해의 지리학적 고찰 권순찬
  112. 공주사범대학 논문집 v.16 환경파괴와 환경영향 평가 김재광
  113. 환경재해 김주환;권동희
  114. 환경과 생활: 환경지리학적 접근 김주환;권동희;김창환
  115. 지리학 v.27 no.1 지역개발에 있어 환경윤리의 문제 류우익
  116. 지리학적 관점에 본 환경문제와 환경보호;Umweltbelastung und Umweltschutz in geografischer Sicht 박동원(역);Boeck,W.
  117. 환경지리학 박동원;손명원
  118. 경북대학교 논문집 v.44 환경지각의 서구지리학적 의의와 동양환경관적 비판 박찬석;이몽일
  119.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하계기온의 도시기후학적 연구-간선도로에 따른 관측을 중심으로- 박혜숙
  120. 지구환경문제란 무엇인가;地球環境問題とは 何か 박혜숙(역);박종관(역);米本昌平
  121. 호서문화논총 v.8 보은 삼승면 금적산 산록면과 취락의 특징 박희두
  122. 지리학 v.33 댐 건설로 인한 하도형태의 변화-대청댐 하류구간을 사례로- 손명원
  123. 경상대학교 논문집(사회계편) v.24 no.1 취락입지요인으로서 우리나라 소유역분지내 하천특성에 관한 연구 손일
  124. 죽파 홍순완박사화갑기념논문집 저수지 하류의 하도 변화에 관한 연구 손일
  125. 인간과 자연환경;The Human Impact: on The Natural Environment 손일(역);Goudie,A.
  126. 현대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인문학(인문학 총서, 02) 가이아 세계관과 환경문제 손일
  127. 지리학 v.20 환경보전에 대한 전망 신석한
  128. 지리학총 v.6 환경파괴의 유형과 그 원인 오홍석
  129. 지역환경 v.6 환경문제의 중요성과 적정한 대응책 오홍석
  130. 지역환경 v.8 환경에 관한 인식의 변화 오홍석
  131. 지역환경 v.11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새 환경관의 모색 오홍석
  132. 환경인식과 실천의 새지평 오홍석
  133. 지리학논총 v.21 총제주의적 환경윤리론의 재구성을 위한 일연구-Leopold, A. 'The Land Ethic'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이강원
  134. 지리학 v.7 한강의 홍수와 그에 대한 적응유형에 관한 연구 이문종
  135. 지리학 v.9 사대강 유역 주민에 대한 Perception연구 이문종
  136. 공주사범대학 논문집 v.13 금강범람원취락주민들의 홍수에 대한 적응형태에 관한 연구: 부여 군수리 이문종
  137. 지구환경문제와 보전대책 이병곤;김일곤;전영권
  138.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의 도시기온에 관한 연구 이현영
  139. 지리학 v.40 원격탐사기법에 의한 도시열섬 연구 이현영
  140. 응용지리 v.9 한국의 지형적 환경과 취락의 입지 장재훈
  141. 응용지리 v.13 한국의 촌락입지에 관한 지형학적 연구 장재훈
  142. 경희대학교 지역개발논문집 v.9 생태론적방법에 의한 한국산지사면의 환경보전에 관한 연구 조동규;고의장
  143. 현대사회 no.가을·겨울 한국의 산업화와 자원·환경문제 최병두
  144. 공간과 사회 v.3 동북아시아의 정치경제와 환경문제 최병두
  145. 공간과 사회 v.4 환경문제의 세계화와 한국의 경제·환경 최병두
  146. 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 최병두
  147. 자연과 인간 한홍렬;박희두;이후석;권동희
  148. 환경계획학 홍시환;김추윤;권동희
  149. 지역환경 v.8 환경문제를 심화시키는 재요인과 대책 황만익
  150. Geomorphology in Environmental Management(2nd ed.) Cooke,R.U.;Doornkamp,J.C.
  151. Arroyos and Environmental Change in the American South-West Cooke,R.U.;Reeves,R.W.
  152. Man's role in changing the face of the Earth The clearing of the woodland in Europe Darby,H.C.;Thomas,W.L.(ed.)
  153. Man's Impact on Environment Detwyler,T.R.
  154. The Human Impact: on the Natural Environment Goudie,A.
  155. Human Activity and Environmental Processes Gregory,K.J.(ed.);Walling,D.E.(ed.)
  156. Area v.4 Environment: Resuscitation of an idea Hare,F.K.
  157. Geomorphology in Environmental Planning Hooke,J.M.(ed.)
  158. A. A. G. Publication Perspectives on Environment Manners,I.R.;Kikesell,M.W.
  159. Man and Nature Marsh,G.P.;D.Lowenthal(ed.)
  160. Geographical Review v.49 The feral horse in Anglo-America McKnight,T.L.
  161. Land, Water and Development Newson,M.
  162. Environmentalism O'Riordan,T.
  163. The Roots of Modern Environmentalism Pepper,D.
  164. Environment, Ideology and Policy Sandbach,F.
  165. Isaiah Bowman Lecture Series 2 Agricultural origins and dispersals Sauer,C.O.
  166. Changing the Face of the Earth: Culture, Environment, History Simmons,I.G.
  167. The draining of the Somerset levels Williams,M.
  168.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화도 염생습지 퇴적물에 관한 연구 박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