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흡충 감염 마우스에 있어 비장세포에서 분비되는 $interferon-\{\gamma}$ 및 interleukin-4의 생산

Production of $interferon-\{\gamma}$ and interleukin-4 by splenocytes in mice infected with Paragonimus westermani

  • 신명헌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민득영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발행 : 1996.09.01

초록

폐흡층(Paragonimus westermani) 감염시 일어나는 TH cytokin 반응을 알아보고자 마우스에 폐흡충 피낭유충을 감염시킨 후 비장세포를 Con A로 자극하여 TH1-specific cytokine인 $IFN-{\gamma}$와 TH2-specific cytokin인 IL-4의 생산량을 감염시기별로 효소표식 면역검사법으로 측정하였다. 폐흡충 감염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생산되는 IL-4는 감염 후 3일($410{\;}{\pm}{\;}60.9{\;}pg/ml$)에 최고치에 도달한 후 2주($343{\;}{\pm}{\;}59.0{\;}pg/ml$)까지 대조군에 비해 높게 유지되었으나 감염 후 4주에는 감소되기 시작하여 6주에는 대조군의 생산량과 비슷하였다. 한편 폐흡충 감염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생산되는 $IFN-{\gamma}$는 감염 후 1주($151{\;}{\pm}{\;}32.2{\;}pg/ml$)에만 대조군에 비해 높게 증가되었을 뿐 2주부터 감소되기 시작하여 감염 후 6주에는 전혀 측정되지 않아 오히려 대조군의 생산량보다도 적었다. 또한 폐흡충 감염 마우스의 혈청 내 IL-4의 양은 감염 후 4주부터 6주에 대조군에 비해 높게 증가되었으며 혈청내 $IFN-{\gamma}$의 양은 전 실험기간을 통해 측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때 폐흡층 감염마우스에서는 $IFN-{\gamma}$보다는 IL-4가 증가되는 TH2 cytokine 반응이 주로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The TH cytokine responses of spleen cells stimulated with Con A from mice infected with Polasonimw westemcni were examined. The spleen cell culture supema- tants were assayed for TH1-specific $IFN-{\gamma}$ and TH2-specific IL-4. Cytokine responses for IL-4 peaked at three days ($410{\;}{\pm}{\;}60.9{\;}pg/ml$), persisted at a high level until the second week ($343{\;}{\pm}{\;}59.0{\;}pg/ml$), and then decreased slowly four and six weeks after infection. $IFN-{\gamma}$ production by splenocytes only increased during the first week ($151{\;}{\pm}{\;}32.3{\;}pg/ml$) and declined abruptly after the second week of infection. IFN- y production by splenocytes of infected mice was not observed during the sixth week of infection. In addition, serum IL-4 and $IFN-{\gamma}$ were measured. Serum IL-4 was not detected in substantial quantity until four to six weeks after infection. The time course of serum IL-4 was not correlated with that of IL-4 production by splenocytes. Serum $IFN-{\gamma}$ was undetectable during the entire course of infe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2 cytokine responses, rather than TH1, predominate in mice infected with P. westemcni.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