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ATTERN OF SKELETAL CHANCE FOLLOWING CERVICAL HEADGEAR THERAPY IN GROWING CHILDREN

성장기 아동에서 Cervical Headgear사용시 골격적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

  • Hyun, Ha-young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Lee, Jin-Woo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Cha, Kyung-Suk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현하영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 교실) ;
  • 이진우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 교실) ;
  • 차경석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 교실)
  • Published : 1996.10.01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orizontal & vertical bone change pattern when using cervical headgear in Class II malocclusion of growing children and compared the skeletal features between the group with increased lower facial height and the group without increase in lower facial heigh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Forward growth of maxilla was inhibited, downward tipping of anterior palatal plane could be seen and distal movement of maxillary first molar was observed. 2. There was relative forward movement of Mandible against the Maxillary cranial base, and relative forward movement of mandibular 1st molar against the Maxilla and vertical increase due to alveolar growth of Mandible. 3.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anterior and posterior facial heights but the ratio of facial heigh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4. The group with increased lower facial height has shorter ramus length, than the smaller palatal plane angle, and more distal movement of Maxillary 1st molar than the group without increase Ha-young Hyun

성장기 아동의 ClassII 부정교합에서 과도한 성장의 억제, 미약한 성장의 촉진으로 성장 시기에 적절히 치료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좋은 치료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중 가장 적절히 쓰이는 장치 중 Cervical headgear의 사용을 들수 있으며 악골에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장치의 부작용이라 할 수 있는 수직적 성장의 과잉을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많은 선학들의 연구가 시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Cervial headgear의 상하악골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 Lover facial height를 기준으로 증가군(>0)과 증가하지 않은 군 (${\leq}0$)으로 나누어 골격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단국대학교 부속 치과병원에 내원한 성장기 아동의 II급 부정교합환자 25명을 대상으로 cervical headgear를 사용한 결과 다음과 같이 다소의 지 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상악골의 전방 성분이 억제되었고, 구개 평면의 전방이 하방으로 tipping되었으며 상악 제 1대구치의 후방 이동이 있었다. 2. 하악골의 두개저에 대한 상대적인 전방 이동이 있었으며 상악에 대한 하악 제 1대구치의 상대적인 전방 이동이있었고 하악골의 alveolar growth에 의한 수직적인 증가가 있었다. 3. 전안면 고경과 후안면 고경이 각기 유의하게 증가했으나 안면 고경 비율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4. Lower facial height가 증가한 group이 증가하지 않은 group보다 ramus의 길이가 짧고 palatal plane angle이 더 작았으며 상악 제 1대구치의 후방 이동량이 더 많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