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icient Purification and Chemical Structure ldentification of Carthamin from Carthamus tinctorius

홍화적색소 Carthamin의 효과적인 분리 및 화학구조 분석

  • Kim, Jun-Beom (Department of Chemistry, Institute of Natural Sciences, Kyung Hee University) ;
  • Cho, Man-Ho (Department of Genetic Engineering and Institute of Natural Sciences, Kyung Hee University) ;
  • Hahn, Tae-Ryong (Department of Genetic Engineering and Institute of Natural Sciences, Kyung Hee University) ;
  • Paik, Young-Sook (Department of Chemistry, Institute of Natural Sciences, Kyung Hee University)
  • 김준범 (경희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
  • 조만호 (경희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유전공학과 및 자연과학종합연구소) ;
  • 한태룡 (경희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유전공학과 및 자연과학종합연구소) ;
  • 백영숙 (경희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 Published : 1996.12.31

Abstract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적색 및 황색색소원으로 널리 사용하여 왔던 홍화(Carthamus tinctorius)로부터 전통적인 추출방법을 응용한 새로운 방법을 사용하여 적색소를 효과적으로 분리정제하였다. 홍화꽃잎을 물 및 메탄올로 처리하여 황색소를 제거한 다음 건조파쇄하여 0.5 M $Na_2CO_3$로 홍색소를 추출하고 0.5 M citrate 수용액으로 침전시킨 후 cellulose 흡착, Sephadex LH-20 관크로마토그라피로 분리정제하였다. 분리정제된 적색소는 $300^{\circ}C$에서 분해되었고 silica gel TLC 상에서 BAW(n-BuOH : HOAc : $H_2O$=4 : 1 : 5)로 전개하였을 때 $R_f$값이 0.56이었다. 에탄올 용액에 녹인 적색소의 UV/Vis 흡수스펙트럼은 519, 372, 311, 244 nm에서 최대 흡수피크를 나타내었고, IR 스펙트럼은 특히 $3400\;cm^1$ 넓은 영역에서 hydroxyl기에 의한 강한 흡수띠를 보여주었다. $^{1}H$$^{13}C$ NMR data로 부터 enolized ${\beta}-triketone$, p-hydroxycinnamoyl, methine 및 glucosyl moieties를 확인하였고 그 값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data를 문헌과 비교한 결과 분리한 홍화적색소의 화학구조는 $6-{\beta}-D-glucopyranosyl-2-[[3-{\beta}-D-glucopyranosyl-2,3,4-trihydroxy-5-[3#-(4@-hydroxyphenyl)-1#-oxo-2#-propenyl]-6-oxo-1,4-cyclohexadien-1-yl]methylene]-5,6-dihydroxy-4-[3#-(4@-hydroxyphenyl)-1#-oxo-2#-propenyl]-4-cyclohexene-1,3-dione$인 carthamin으로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