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terations of Binding Capacities of Dopamine Receptors After Treatment with Haloperidol and Sulpiride in Rat Brain

Haloperidol 및 Sulpiride 투여후 백서 뇌내 Dopamine 수용체 결합력의 변화

  • Hahn, Kyu-Hee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Ahn, Yun-Young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한규희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안윤영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1995.06.30

Abstract

The effects of chronic treatment with haloperidol and sulpiride on the binding capacities of dopamine(DA) receptor were examined in rat striatum and olfactory tubercle. Additionally, the stereotypy scores were assessed after apomorphine administration. Rats were treated with haloperidol(0.5mg/kg/day) or sulpiride(40mg/kg/day) for four weeks. Apomorphine(0.5mg/kg) was injected after three-day washout from neuroleptics, and stereotypy scores were assessed. Haloperidol group showed high scores of stereotyped behavior in comparison with control and sulpiride groups. With control group, sulpiride group displayed similar stereotyped behaviors. Saturation analysis of the binding of [$^3H$]spiperone to striatal membranes showed that the Bmax of haloperidol and sulpiride groups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with that of control group. The $K_D$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sulpiride treatment in striatum. Although sulpiride produces the same proliferation of DA receptor, the low stereotypy scores of sulpiride group indirectly suggest that sulpiride acts differently from haloperidol in brain DA system. The Bmax increased remarkably following both treatment with haloperidol and sulpiride in olfactory tubercle. Also, the increase in $K_D$ was significant after treatment with haloperidol and sulpiride in olfactory tubercle. Moreover, the $K_D$ of control group in olfactory tubercle was more than twice the $K_D$ of control group in striatum. The $K_D$ was 86.2 in striatum and 37.5 pM in olfactory tubercle. The present finding indicates that sulpiride also induces the proliferation of DA receptor in olfactory tubercle and may interact with some DA receptor subtype with high affinity profile. The different affinities of the control groups of striatum and olfactory tubercle suggest that striatal DA receptor subtypes labeled by [$^3H$]spiperone could differ from those of olfactory tubercle.

흰쥐에 항정신병약물인 haloperidol과 sulpiride를 장기간 투여한 뒤 줄무늬체와 후결절조직에서의 DA 수용체 의 변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와 함께 apomorphine 투여에 따른 상동행동점수도 평가하였다. 흰쥐에 haloperidol(0.5mg/kg/day) 이나 sulpiride(40mg/kg/day)를 4주간 투여하고, 3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거친 후에 apomorphine(0.5mg/kg)을 투여하여 상동행동점수를 평가하였다. Haloperidol을 투여한 군에서는 대조군이나 sulpiride를 투여한 군에 비하여 상동행동에 대한 접수가 높게 나타났고, sulpiride를 투여한 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정도의 상동행동을 나타내었다. 한편 줄무늬체 조직의 [$^3H$]spiperone의 결합에 대한 포화실험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haloperidol이나 sulpiride를 투여한 군에서 최대결합치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해리상수는 sulpiride투여시 줄무늬체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Sulpiride를 투여했을때 haloperidol 투여 시와 마찬가지의 DA수용체의 증식이 일어나지만, sulpiride 투여군에서만 상통행동 접수가 낮은 것으로 볼 때, 뇌의 DA계에서 sulpiride가 haloperidol과는 다르게 작용한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후결절에서는 sulpiride와 haloperidol을 투여한 양군에서 모두 최대결합치가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또한 해라상수도 양군의 후결절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더욱이, 대조군은 후결절에서의 해리상수가 37.5pM, 줄무늬체에서는 86.2pM로 나타나, 후결절에서 줄무늬체에서보다 친화도가 두배 이상 높게 측정되었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sulpiride는 후결절에서 DA수용체의 증식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높은 친화력을 가진 몇몇 DA수용체 아형과도 상호작용을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대조군에서 줄무늬체와 후결절에서의 친화도가 다른 점은, [$^3H$]spiperone에 반응한 DA수용체 아형은 줄무늬체와 후결절에서 각기 다르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