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한국잡초학회지)
- Volume 15 Issue 4
- /
- Pages.254-261
- /
- 1995
- /
- 0253-7648(pISSN)
Changes of Weed Community in Lowland Rice Field in Korea
한국(韓國)의 논 잡초분포(雜草分布) 현황(現況)
- Park, K.H.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
- Oh, Y.J.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
- Ku, Y.C.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
- Kim, H.D. (Gyeonggi, RDA) ;
- Sa, J.K. (Gangweon, RDA) ;
- Park, J.S. (Chungbug, RDA) ;
- Kim, H.H. (Chungnam, RDA) ;
- Kwon, S.J. (Jeonbug, RDA) ;
- Shin, H.R. (Jeonnam, RDA) ;
- Kim, S.J. (Gyeongbug, RDA) ;
- Lee, B.J. (Gyeongnam, RDA) ;
- Ko, M.S. (Cheju Provincia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박광호 (작물시험장) ;
- 오윤진 (영남농업시험장) ;
- 구연충 (작물시험장) ;
- 김희동 (경기농촌진흥원) ;
- 사종구 (강원농촌진흥원) ;
- 박재성 (충북농촌진흥원) ;
- 김현호 (충남농촌진흥원) ;
- 최석주 (전북농촌진흥원) ;
- 신해룡 (전남농촌진흥원) ;
- 김세종 (경북농촌진흥원) ;
- 이병정 (경남농촌진흥원) ;
- 고무수 (제주도농촌진흥원)
- Received : 1995.10.10
- Published : 1995.12.30
Abstract
The nationwide weed survey was conducted in lowland rice fields over whole country of Korea in 1992 in order to determine a change of weed community and to identify a major dominant weed species and/or problem wee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weeds, population ratio of broad leaf weed was 42.6%, grasses weed-9.0%, sedges-33.4% and others were 15.0%. Annual weed was 33.4% while perennial weed was 66.6% in terms of life cycle of weeds. Meanwhile, there was different weed occurrence as affected by planting method of the rice plant. In hand transplanted paddy fields predominant weed species was Sagittaria trifolia L., Monochoria vaginalis Presl., and Aneilema japonica Kunth. In machine transplanted rice fields of infant and young rice seedling Eleocharis kuroguwai Ohwi. and S. trifolia L. were more predominant. There was high occurrence of M. vaginalis, Echinochloa crus-galli L., and Leesia japonica Makino in water seeding while E. crus-galli and Cyperus serotinus Rottb. were predominant weed species in dry seeded rice. Monoculture of the rice plant would cause to high occurrence of E. kuroguwai, S. trifolia, M. vaginalis, E. crus-galli, and Sagittaria pygmaea Miq and there was higher population of S. trifolia, S. pygmaea, M. vaginalis, E crus-galli, and E. kuroguwai in double cropping system based on rice culture. In particular, there was high different weed occurrence under different transplanting times. E. kuroguwai, S. trifolia, S. pygmaea, M. vaginalis, and C. serotinus were higher population at the transplanting of 25 May and S. trifolia, E crus-galli, C. serotinus, and M. vaginalis at 10 June and S. pygmaea, E. kuroguwai, M. vaginalis, S. trifolia, and E. crusgalli at 25 June in Korea, respectively. Autumn tillage in terms of tillage time would cause more predominant weed species such as S. trifolia, E. kuroguwai, M. vaginalis, and S. pygmaea while spring tillage was higher population of E. kuroguwai, S. trifolia, E. crusgalli, M. vaginalis, and S. pygmaea. In plain area of paddy field there was higher occurrence of E. kuroguwai, S. trifolia, M. vaginalis, E. crus-galli, and S. pygmaea and in mid-mountainous area S. trifolia, E. kuroguwai, M. vaginalis, E. crus-galli, and Ludwigia prostrate Roxb. while in mountainous area S. trifolia, M. vaginalis, Potamogeton distinctus Ben., E. kuroguwai, and E. crus-galli were. In 1992 the most ten predominant weed species at the rice field of Korea based on summed dominant ratio(SDR) were E. kuroguwai > S. trifolia > E. crus-galli > M. vaginalis > S. pygmaea > C. serotinus > L. prostrate > P. distinctus > A. japonica > Scirpus juncoides Roxb.
1992년(년) 전국(全國) 9개도(個道) 121개(個) 시 군(市 郡)의 2459개소(個所)에서 논종류(種類), 작부양식(作付樣式), 재배양식(裁培樣式), 이앙시기(移快時期), 경운방법(耕耘方法) 및 시기(時期)에 따른 논잡초발생(雜草發生)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1. 논잡초(雜草)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에 따른 분포비율(分布比率)은 화본과(禾本科) 9.0%, 광엽잡초(廣葉雜草) 42.6%, 방동사니과 33.4%, 기타 15.0%로 나타났다. 2. 1992년 발생한 논잡초(雜草)의 형태별(形態別) 초종수(草種數)는 화본과(禾本科) 5, 광엽잡초(廣葉雜草) 27, 방동사니과 7등 총(總) 39개(個) 초종(草種)인 것으로 알려졌다. 3. 전국(全國) 논잡초(雜草)의 생활형(生活型)에 따른 분포비율(分布比率)은 일년생(一年生) 33.4%, 다년생(多年生) 66.6%로 나타났다. 4. 논유형별(類型別) 논잡초의 발생양상(發生樣相)은 보통답, 사질답, 미숙답에서 올방개의 발생이 가장 높았으며 습답에서는 벗풀이 가장 많이 우점(優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간척답에서는 물달개비의 발생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5. 벼 재배양식별(栽培樣式別) 논 잡초(雜草)의 발생정도(發生程度)는 손이앙재배답(移秧我培畓)에서는 벗풀, 물달개비, 사마귀풀 등의 발생량이 많았으며 어린모 및 중묘기계이앙답(機械移秧畓)에서는 올방개, 벗풀의 우점도(優占度)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관수직파재배(灌水直播栽培)에서는 물달개비, 피, 나도겨풀 등이 건(乾) 답직파재배(畓直播栽培)에서는 피, 너도방동사니 등의 발생량이 매우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6. 작부양식별(作付樣式別) 논잡초(雜草)의 발생양상(發生樣相)은 일모작지대(一毛作地帶)에서는 올방개, 벗풀, 물달개비, 피, 올미 등이 우점(優占)하였고, 이모작지대(二毛作地帶)에서는 벗풀, 올미, 물달개비, 피, 올방개 등이 각각 많았다. 7. 이앙시기(移秧時期)에 따른 전국(全國) 논잡초(雅草) 우점정도(優占程度)에서는 5월 25일 이앙(移秧)에서는 올방개, 벗풀, 올미, 물달개비, 피, 너도방동사니 등의 발생량이 많았으며, 6월 10일 이앙(移秧)에서는 올방개, 벗풀, 피, 너도방동사니, 물달개비 등이, 6월 25일 이앙(移秧)에서는 올미, 올방개, 물달개비, 벗풀, 피 등의 발생량(發生量)이 각각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8. 경운시기(耕耘時期)에 따른 논잡초(雜草)의 발생현황(發生現況)은 추경답(秋耕畓)에서는 벗풀, 올방개, 물달개비, 올미, 피 등이, 춘경답(春耕畓)에서는 올방개, 벗풀, 피, 물달개비, 올미 등의 우점도(優占度)가 높은 편이었다. 특히 무경운(無耕耘) 벼 재배답(栽培畓)에서는 사마귀풀, 올미, 너도방동사니, 올방개, 피 등의 발생이 각각 많았다. 9. 지대별(地帶別) 논잡초(雜草)의 발생양상(發生樣相)은 평야지(平野地)에서는 올방개, 벗풀, 물달개비, 피, 올미 등이, 중산간지(中山間地)에서는 벗풀, 올방개, 물달개비, 피, 여뀌바늘 등이, 산간지(山間地)에서는 벗풀, 물달개비, 가래, 올방개, 피 등의 발생량이 각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0. 1992년 전국(全國) 10대 주요 논잡초(雜草)의 우점도(優占度)는 올방개, 벗풀, 피, 물달개비, 올미, 너도방동사니, 여뀌바늘, 가래, 사마귀풀, 올챙이고랭이 순(順)으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