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totoxicity Response of Herbicide in Infant Seeding Machine Transplanting of Rice(Oryza sativa L.) - I. Difference of seedling age

벼 어린모 기계이앙시(機械移秧時) 제초제(除草劑)의 약해반응(藥害反應) 연구(硏究) - I. 육묘기간(育苗期間)의 차이(差異)에 따른 제초제(除草劑)의 약해(藥害)

  • Im, I.B.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
  • Baek, N.H.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
  • Shim, I.S. (Institute of Applied Biochemistry, University of Tsukuba) ;
  • Lee, S.Y.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 Received : 1995.04.17
  • Published : 1995.06.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paddy fiel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ensulfuron (methyl-2-[[[[[(4,6-dimethoxypyrimidin-2-yl)amino]carbonyl]amino]sulfonil]methyl]benzoate)+butachlor (N-(butoxymethyl)-2-chloro-2',6'-diethyl acetanilide) and bensulfuron+mefenacet(2-(1,3-benzothiazol-2-yloxy)-N-methylacetanilide) for seedling age of rice with Dongjinbyeo of medium-late-maturing variety, Hwaseongbyeo of medium-maturing variety and Namwonbyeo of early-maturing variety. Two herbicide applications interfered with the early growth of all rice varieties, the root was especially damaged more than the shoot. The phytotoxicity of bensulfuron+butachlor and bensulfuron+mefenace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and the phytotoxicity of these herbicides for seedling age was apt to be similar, also. Twenty and 35days seedlings of Dongjinbyeo and Hawseongbyeo had more growth amount than 8days seedlings, but Namwonbyeo had opposite trend. The number of maximum tillers in the plots applied herbicides were fewer than untreated control but, the percentage of productive tillers was higher than those. Heading date for Namwonbyeo was delayed 2, 1-2 and 2-3days on 35, 20 and 8days seedlings by herbicide application, respectively.

조생종(난원벼), 중생종(화성벼) 및 중만생종(동진벼)을 공시하고 이들의 육묘기간을 35일(중묘), 20일(치묘) 및 8일(어린모)로 달리한 묘를 6월 9일에 이앙하여 벼 생태형 및 육묘일수의 차이가 제초제의 약해에 어떤 반응을 나타내는가를 비교 검토하여 벼 재배시 잡초방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이앙 후 5일에 bensulfuron+butachlor와 bensulfuron+mefenacet 입제를 처리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초제 처리에 의해서 생육 초기에 동진벼, 화성벼, 남원벼 모두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장이 유의적으로 저해 되었는데 특히 지상부보다 지하부인 근부생장이 크게 억제되었으며, 두 약제간의 차이는 유의성이 없었다. 육묘기간에 따른 벼 생육량은 중만생종인 동진벼와 중생종인 화성벼는 20일묘, 8일묘가 35일묘의 이앙구보다 생육량이 컸으며 조생종인 남원벼는 8일묘의 이앙구가 낮았다. 이는 bensulfuron+butachlor와 bensulfuron+mefenacet의 처리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특히 이들 제초제 처리에 의해서 초기 약해로 인하여 최고분얼수는 적었으나 후기 출수(出穗)는 차이가 없어 유효경비율(有效莖比率)이 높았다. 조생종인 남원벼는 이들 제초제의 처리로 초기의 생육 지연이 출수에 있어서 중묘는 2일, 치묘는 1-2일, 그리고 어린모는 2-3일 정도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