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y and Growth of Weeds and Weedy Rice in Direct-seeded Rice Fields

직파재배답(直播栽培沓)에서의 잡초(雜草) 및 적미(赤米) 발생(發生) 생태(生態)

  • Choi, C.D. (Yeongnam Crop Experiment Station, RDA) ;
  • Moon, B.C. (Yeongnam Crop Experiment Station, RDA) ;
  • Kim, S.C. (Yeongnam Crop Experiment Station, RDA) ;
  • Oh, Y.J. (Yeongnam Crop Experiment Station, RDA)
  • Received : 1994.12.12
  • Published : 1995.03.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Yeongnam Crop Experiment Station since 1992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ecology of weeds and weedy rice in direct-seeded rice fields. Annual grass weeds of Echinochloa sp., Leptochloa sp., Digitaria sp. and Setaria sp.(C4 plant) and weedy rice(C3 plant) were important species in direct seeded rice compared to transplanted rice field. Period of seedling emergence of barnyard grass was varied from 8 days to 20 days depending on seeding date while it was shorter 4 to 6 days than rice. Weed occurrence and the degree of yield loss were varied by cultivation method. In direct seeding method weeds increased 2 to 3 times compared to manual transplanting. The greatest yield loss was recorded in direct seeding(40 to 100%) followed by mechanical transplanting(25 to 35%) and hand transplanting(10 to 20%), in order. Double cropping of rice-barley was reduced weeds about 30% than rice single crop due to alleopathic effect of barley residue or stubble. Weedy rice(red rice) occurrence was closely related with seeding date and tillage methods. Early seeding and reduced tillage enhanced the growth of weedy rice.

벼 직파재배답(直播栽培畓)에서의 효과적인 잡초방제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잡초발생 생태 및 적미(赤米)발생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1992년부터 시험포장과 농가답을 대상으로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직파재배답(直播栽培畓)은 이앙답(移秧畓)에 비하여 피, 적미(赤米), 드렁새, 바랭이, 강아지풀 등의 1년생(年生) 화본과 잡초 발생이 많았다. 2. 파종사기별로 피와 벼의 출아소요기간(出芽所要期間)에 차이가 있었는데, 피의 출아기간(出芽期間)은 4월 5일 파종(播種)에서는 14일, 5월 15일 파종(播種)은 8일, 6월 25일 파종(播種)에는 4일이 소요되었으며, 각 시기별로 벼는 피에 비하여 4~6일 출아(出芽)가 늦었다. 3. 재배양식별(栽培樣式別) 잡초발생량 및 수량감소정도는 직파재배(直播栽培)>기계이앙(機械移秧)>손이앙 순이었으며, 직파재배(直播栽培)는 손이앙에 비해 잡초발생량은 2~3배 많고, 수량감소는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 40~60%,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는 70~100%로 특히 피의 발생이 많았다. 4. 보리를 앞작물로 하는 미맥2모작(米麥2毛作) 작부체계재배(作付體系栽培)가 벼 단작(單作)의 1모작(毛作) 재배(栽培)에 비하여 피를 비롯한 대부분의 잡초가 발생이 억제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약(約) 30% 정도의 발생경감 효과가 있었고, 수량(收量)도 다소 증수되었다. 5. 적미(赤米)의 발생은 파종시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는데, 2월에서 6월까지의 파종시기에서 0.4~3.6% 정도 발생되었으며,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발생량이 많았다. 6. 경운방법(耕耘方法)에 따라서도 적미(赤米)의 발생양상이 달라졌는데, 무경운(無耕耘)>로타리>경운(耕耘)+로타리 순이었으며, 무경운재배(無耕耘栽培)에서는 경운(耕耘)+로타리 재배(栽培)에 비해 6배 이상 발생량이 증가하였다. 7. 직파재배(直播栽培) 경과 연수에 따른 적미(赤米)발생량은 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었으며, 재배년수(栽培年數)와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