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n Chronic Renal Failure Undergoing Hemodialysis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혈액투석 전후의 기관지 과민반응검사

  • Hwang, Young-Si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Shim, Dae-Su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황영실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심대석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5.08.31

Abstract

Background: Cardiogenic pulmonary edema increases nonspecific airway responsiveness in humans and animals. Increased extravascular lung water from overt pulmonary edema to subclinical interstitial edema is a common finding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Several studies carried out to assess pulmonary function disturbances in this condition have documented a reduction in forced expiratory volume that usually reverses after hemodialysis, suggesting airway edema as the underlying mechanism. This interstitial edema may also lead to nonspecific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We hypothesized that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may present nonspecific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due to subclinical interstitial pulmonary edema. Methods: We studied 18 chronic renal failure undergoing regular hemodialysis 3 times a week(New York Heart Association Class II) without concomittent disease. These patients were checked pulmonary function test and metacholine provocation test before hemodialysis and same procedure was repeated if responsive, after hemodialysis. Results: 1) 12 out of 18 patients before hemodialysis were reactive in metacholine provocation test(66.7%) before hemodialysis. This airway hyperresponsiveness were decreased after hemodialysis. 2) Pulmonary function was improved after hemodialysis and change in $FEV_1$ was correlated with change in weight(r=-0.62, p<0.01). 3) There wa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log $PD_{20}$ and $FEF_{25}$, which is one of the variables of the peripheral airways(r=0.58, p<0.05). Conclusion: We speculated interstitial pulmonary edema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and lung function impaired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연구배경: 심인성 폐부종은 임상실험이나 동물실험에서 비특이적 기도과민 반응을 증가시킨다는 많은 보고가 있다. 또한 만성 신부전 환자는 혈관밖 폐수분 증가에 의하여 무증상에서 명확한 폐부종까지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여러 보고에 의하면 만성 산부전 환자에서 혈관 밖 폐수분 증가로 폐활량이 감소하며 혈액투석 후는 폐 간질성 부종의 감소 혹은 소설로 폐활량이 호전 된다고 한다. 그런데, 이 폐 간질성 부종이 비특이적 기관지 과민 반응을 야기하는 한 기전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연구자들은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폐간질성 부종에 의하여 기관지 반응이 증가되는지 여부를 알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방법: 다른 동반질환이 없는, 1주에 3번씩 혈액투석을 하고 있는 18명의 만성신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환자들은 혈액투석전 폐기능 검사와 메타코린 기관지 유발검사를 하였고, 기관지 과민반응을 나타낸 환자는 혈액투석후 폐기능검사와 메타코린 기관지 유발 검사를 반복 시행하였다. 결과: 1) 18명중 12명에서 혈액투석전 메타코린 기관지 수축 유발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하였고(66.7%), 이 기관지 과민반응은 혈액투석후 감소되었다. 2) 폐기능은 혈액투석후 호전되었고, 혈액투석 전후 $FEV_1$ 변화와 체중 변화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r=-0.62, p<0.01). 3) $PD_{20}$$FEF_{25}$ 사이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59, p<0.05). 결론: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관찰된 폐기능 저하와, 기관지 과민성 반응은 폐 간질성이 부종에 의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