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 임파절에서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을 이용한 결핵균의 진단에 관한 연구

Diagnosis of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 김호중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현인규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명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기석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안혜경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Kim, Ho-Jo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yun, In-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Myoung-K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ung, Ki-Suc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Ahn, Hye-Kyung (Department of Pathology,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1995.02.28

초록

연구배경: 결핵성 경부임파선염의 진단은 임상소견, 흉부 X-선검사, 튜베르큘린검사의 비관혈적 방법으로 내리기 어려워, 경부 임파절 생검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종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기법을 이용하여 결핵성 경부임파선염을 진단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가능하다면 그 유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경부 종물로 내원한 환자의 생검 조직과 세침흡인 검체 29예에서 DNA를 추출하여, 결핵균 DNA인 IS6110의 일부를 복제하기 위한 IS-1,-2를 primer로 사용하여 PCR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임상적 진단 및 병리, 세균학적 진단과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107.5mg의 생검조직과 2회 세침흡인 검체에서 추출한 DNA의 양은 각각 평균 $32.46{\pm}17.22mg$$220{\pm}140ng$이었고 $OD_{260}/OD_{280}$은 각각 $2.11{\pm}0.23,\;2.76{\pm}0.39$이었으며, 상존유전자인 $\beta$-actin 유전자를 목표로 하는 PCR은 전예에서 양성이었다. 병리학적으로 결핵으로 진단한 8예중 8예 전예에서, 병리소견상 확진되지 않았으나 임상적으로 결핵성 경부임파선염으로 진단한 8예중 5예에서, 병리학적으로 악성 임파절전이나 갑상선낭종으로 진단되어 결핵성 경부임파선염이 배제된 6예중 0예에서, 그리고 임상적으로 결핵성 경부임파선염이 배제된 7예중 2예에서, 결핵균 DNA를 목표로 한 PCR 결과가 양성이었다. 결론: 경부 임파절 조직과 세침흡인 검체의 결핵균 PCR 기법은 결핵성 경부임파선염의 진단에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Background: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can be diagnosed by clinical findings, chest X-ray, Mantoux test, but confirmed only by excisional biops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is now widely applied to test very small amount of pathogen and would be used to detect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 biopsied tissues and fine needle aspirates. Method: We carried out the PCR using IS-1 and IS-2 primers in 16 samples from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patients, and 13 samples from non-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opathy patients. Acid fast staining and culture for Mycobacterium were all negative. Results: All of 8 pathologically confirmed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samples showed positive PCR results, and of 5/8 clinically diagnosed samples were positive. None of 6 pathologically excluded samples were positive, and among 7 clinically undiagnosed samples 2 showed positive PCR results. Conclusion: In patients with suspected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PCR could be used to detect Mycobacterium tuberculosis using biopsied tissues and even fine needle aspirates with goo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