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연안의 양식장 환경조사 5. 군산연안 양식장의 저질환경

Environmental Survey on the Cultivation Ground in the West Coast of Korea 5. Bottom Conditions on a Coastal Farm of Kunsan Areas

  • Lee Jeong-Yeol (Department of Aquaculture,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Ryou Dong-Ki (Department of Aquaculture, Kunsa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5.05.01

초록

서해연안의 양식장 환경조사의 일환으로 군장국가공단 건설사업 중 방조제 공사가 진행되고 있어 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군산연안 간석지 양식장을 대상으로 1992년 5월부터 1993년 4월까지 저질환경을 조사하여 양식장환경을 진단하고 동시에 방조제공사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1 조사지역의 입도조성은 입경 $0.064\leq0.25mm$의 미사가 $69\~98\%$를 나타내어 모래질이 우세한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2. 저질의 pH는 7.2-9.1의 범위를 나타내었는데 하층이 상층에 비해 높았으며 방조제 공사에 따라 점차 pH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저질의 함수율은 $11.1\~28.1\%$의 범위로 점토가 많은 지역의 함수율이 높았다. 4. COD 값은 0-1.27mg/g 건니를 나타내어 양호한 상태를 보였으며 pH값과는 달리 방조제공사에 따라 COD값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5. 총유기물함량은 $0.84\~8.11\%$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하층이 상층에 비해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6. 용존산소흡수량은 $0\~6.56mg/g$ 건니의 범위를 보였으며 겨울에서 봄에 낮은 값을, 여름에서 가을에 놀은 값을 보였다. 7. 총질소함량과 황화물은 각각 $0\~402{\mu}g/g$ 건니와 $0\~122{\mu}g/g$ 건니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여름과 겨울에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층별로는 대체로 상층이 하층에 비해 약간 높게 나타났다.

In Kunsan coastal areas, there are some plans to construct industrial zone and, it will affect physical and chemical parameters of marine environment of the area. As one of many environmental surveys on the aquacultural farm in Korean west coast, the survey on the bottom sediment characteristics of intertidal farm was conducted from May 1992 to April 1993. Dominant grain size was fine sand $(69-98\%)$ and the pH of sediment was ranged of $7.2\~9.1$. Especially the pH increased after embank was constructed. The water holding capacity was $11.1-28.1\%$ and showed high value in silt and clay area. The COD was 1.27 mg/g dry mud and increased after embank was constructed. The total organic matter content ranged of $0.84-8.11\%$ and the DO absorption was $0\~6.56 mg/g$ dry mud. The value of DO absorption showed low in winter and spring, but high in summer and fall. The total nitrogen and the sulfide were rang of $0\~402{\mu}g/g$ dry mud and $0\~122{\mu}g/g$ dry mud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high in summer and winter season, and higher in upper layer than that of lower layer in genera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