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ly Gonadogenesis in Diploid and Triploid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2배체와 3배체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의 원시생식소 형성과정

  • Kim Bong-Seok (Department of Aquacultur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Kim Dong Soo (Department of Aquacultur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김봉석 (부산수산대학교 양식학과) ;
  • 김동수 (부산수산대학교 양식학과)
  • Published : 1995.08.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early gonadogenesis by using a histological method for the appearance of primordial germ cells (PGCs), protrude of genital ridge, and formation of primitive gonads in diploid and triploid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The pattern of early gonadogenesis including appearance of PGCs, formation of genital ridge, and development of primitive gonad in both diploid and triploid were not different histologically. Characteristics of PGCs of triploid were also the same as those of diploid. However, gonadal length of diploid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triploid (P<0.05).

유도된 3배체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의 자, 치어를 재료로 시원생식세포의 출현, 생식 융기 및 원시생식소 형성 및 발달 과정을 조사하여 2배체와 비교하였다. 2배체와 3배체 모두 시원생식세포는 부화후 2일, 체후부의 중신관과 장관사이의 섬유성 간충직을 따라 식별되었다. 생식 융기는 부화후 4-5일 체벽 상피로부터 복강으로 돌출되기 시작하였고 원시 생식소는 부화후 8일의 후기자어에서 식별되어, 부화후 20-25일까지 시원생식세포들의 분열 증식과 풍부한 섬유성 결체조직의 형성과 함께 앞쪽으로 신장되어 가는 선상의 생식소로 나타나 두 실험군 모두 동일한 조직학적 특성을 보였다. 시원생식세포의 형태는 2배체와 3배체 모두 원반형에서 타원형 내지 구형으로 발달되었고 크기의 차는 없었으나, 원시생식소의 길이는 2배체가 3배체에 비해 길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