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용 핸드피스에 의한 일시적 진동감각역치 변화

Temporary Threshold Shift of Vibration Sensation by Dental Handpiece

  • 김성아 (경북의대 예방의학교실) ;
  • 이종영 (경북의대 예방의학교실) ;
  • 김두희 (동국의대 예방의학교실) ;
  • 박순우 (대구효성가톨릭의대 예방의학교실)
  • Kim, Seong-Ah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Jong-Yo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Doo-Hi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Park, Soon-W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of Taegu-Hyosung)
  • 발행 : 1995.12.01

초록

치과용 핸드피스에서 발산하는 고주파수의 진동에 의한 일시적 진동감각역치 변화를 관찰하고자 치과위생병 28명을 대상으로 34,000rpm의 low-speed handpiece를 진동기구로 사용하였다. 진동에 폭로시키기 전과 후, 치과의사가 스케일링시 취하는 작업자세에 5분간 폭로시킨 후의 진동감각역치를 청력계기의 골전도진동기를 사용하여 250 Hz에서 그들이 주로 사용하는 손의 제2지두수에서 측정한 결과, 각각 $23.5{\pm}3.5dB,\;30.8{\pm}4.2dB,\;23.7{\pm}4.6dB$로 진동에 5분간 폭로시킨 후의 역치가 폭로 전에 비해 7.3dB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001). 진동폭로 전후의 차이에 따른 분포를 보면, 10 dB 내외로 증가한 사람이 71.4%로 대부분이었고 16 dB의 증가가 가장 높았다. 진동 폭로 전의 진동감각역치와 신장, 체중, 체질량 지수와의 상관관계는 각각의 상관계수가 0.0360, -0.1657, -0.2641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흡연에 따른 차이도 흡연군(N=20)과 비흡연군(N=8)의 진동감 각역치가 각각 23.1 dB, 24.6 dB로 그 차이 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핸드피스와 같은 고주파-진동기구를 사용하는 치과의사 및 치과위생사에게서 진동감각역치의 변화가 예상되며, 말초신경병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작업자세에 의한 장기간의 영향 및 아말감 충전시 사용하는 수은의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emporary threshold shift (TTS) of vibration sense could induced by exposure to high-frequency vibration or by work position taking by dentists in drilling or polishing. The vibratory perception thresholds (VPT) of 28 healthy men were measured on the index fingertip pulp of dominant hand at 250 Hz. The vibrating tool used in test was a low-speed handpiece of 34,000 rpm. For the TTS test, the dominant hand was exposed to high-frequency vibration and to work position for five minutes, respectively. The VPTs before and after vibratory exposure were $23.5{\pm}3.5dB,\;30.8{\pm}4.2dB$, respectively and VPT after work position was $23.7{\pm}4.6dB$.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vibartory expos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The correlation of height, weight and BMI with baseline VP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there was no difference of VPTs by smok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frequency vibration from dental handpieces might cause the impairment of vibration sens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