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Assessment of Shift Workers in a Automobile Manufacturing Plant

자동차공장 교대작업 근로자들의 건강상태평가

  • Lee, Jung-Je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ung, Jong-Ha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이중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정종학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5.03.01

Abstract

An investigation on psychophysiological health and social well-being of shift workers been carried out on workers of a automobile manufacturing plant in Ulsan, for 1 month from April, 1993. This cross-sectional survey compared shift workers(n=544) with day workers(n=115). Each subject completed a questionnaire about his personal habit, background, shift schedule, sleep and eating patterns, subjective digestive sympto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istress using the General Well-Being Schedule(GWB) by self administrated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for the U.S.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HANES I). Chi-square analysis was used for discontinuous data and the t-test was used for continous data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ces not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sleep quality, a greater percentage of shift workers frequently had trouble getting back to sleep once awakend(p<0.01), and a greater percentage of shift workers awakend tired or sleepy frequently more often than day workers(p<0.05). In rating the quality of their sleep, more shift workers rated their sleep fair to poor than day workers, and greater percentage of shift workers felt tired or sleepy at work two or more times per week(p<0.01) and a much higher percentage of shift workers felt tired or sleepy after work every days(p<0.01). In terms of sleep patterns, a much higher percentage of day workers reported uninterrupted sleep per 24hours than shift workers. The shift workers reported different eating patterns from day workers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rate of their appetite. Thirteen percent of day workers reported the best appetite but only 6.6% of shift workers had the best appetite. The gastric complaints is more frequent in shift workers than day workers(p<0.01). Among subscores in General Well-Being Schedule, anxiety, depression, positive well-being and vitality subscale of shift workers were lower than those of day workers(p<0.05) and general health and self control subscale of shift workers were lower than .those of day workers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se study result,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shift work has significant effects on some psychophysiological conditions of the workers.

교대작업이 근로자의 육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1993년 5월 한 달간 경상남도 울산시 소재 모 자동차 공장 생산직 근로자 659명(교대작업자 : 544, 주간작업자 : 115)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시점에서 현재 교대작업을 하고 있으며 자신의 근무기간 중 80% 이상을 교대작업에 참여한 근로자를 지속적인 교대작업자로 간주하였으며, 조사 당시 교대작업에 참여하고 있지 않고 과거에도 교대 작업에 참여한 경험이 전혀 없었던 근로자룰 주간작업자로 하였다. 교대작업군과 대조군의 일반적인 특성 및 작업과 관련된 특성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교대작업에 관련된 내용은 면접을 통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근로자의 수면양상과 식사형태에 관한 설문은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에서 개발된 항목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위장관계질환의 자각증상에 관하여서도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근로자의 일반적인 안녕 상태와 장해는 미국의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에서 개발된 자기기입식 설문인 General Well-Being Schedule(GWB)에 의해 측정되었다. 교대작업자에서 자신이 원하는 수면시간보다 1시간 이상 수면이 모자란다고 호소한 근로자가 56.8%로 주간작업군의 50.0%보다 높았으며, 수면 중 2회 이상 잠을 깨는 근로자의 비율, 잠에서 깨었다 다시 잠들기가 힘들다고 호소한 근로자의 비율, 일주일에 2일 이상 작업 중 피곤하거나 졸리다고 호소한 근로자의 비율, 일주일에 2일 이상 작업이 끝난 후에도 피곤하거나 졸리다고 호소한 근로자의 비율은 주간 작업자보다 교대작업자에서 현저하게 높았으며(p<0.01), 교대작업자에서 자고 일어난 후에도 피로감을 호소하는 율도 교대작업군에서 53.1%로 주간작업자의 40.0%보다 높았다(p<0.05). 수면의 형태를 보면 교대작업자에서는 각 교대작업 때마다 다른 형태의 수면을 취하는 근로자가 35.9%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잠을 잘 못 잔다고 호소하는 근로자도 12.3%로 주간작업자의 6.1%보다 훨씬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잠을 자기 위해 약물을 상습적으로 복용하는 근로자도 주간작업자에서 1.7%, 교대작업자에서 2.8%를 차지하였다. 교대작업자들과 주간작업자는 다른 형태의 식사형태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식욕은 주간작업자의 13.0%에서 아주 좋다라고 응답한 반면 교대작업자에서는 6.6%만이 식욕이 아주 좋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식욕이 매우 나쁘다라고 응답한 비율도 5.0%로 주간작업자의 2.5%보다 높았다. 교대작업자와 주간작업자의 위장관계 자각증상 호소율은 교대작업군에서 높았으며(p<0.01), 배변습관의 변화와 체중감소 호소율도 교대작업자에서 주간작업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근로자의 일반적인 안녕 상태와 장해는 HANES I에서 개발된 General Well-Being Schedule(GWB)에 의해 측정되었는데 불안척도, 우울척도, positive well-being척도, 활력척도에서는 교대작업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자기제어력척도, 일반건강척도도 교대 작업자에서 낮았으나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대작업자에서 생체리듬의 부조화로 인한 수면, 식사, 위장관계장해 등의 일련의 자각증상에 대한 호소율이 주간작업자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일반적인 건강 장해 호소율도 교대작업자에서 높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