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에서의 대기 background 농도

Atmospheric Background Values at Dokdo Island, Korea

  • 이동인 (부산수산대학교 대기과학과)
  • LEE Dong-In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s,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발행 : 1995.01.01

초록

1991년 6월 7일-8일, 1992년 6월 25일-26일까지 약 2일 동안 대기중의 background 농도값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오염 지역인 독도 정상에서 기상요소와 함께 가스 성분 $(SO_2,\;CO,\;NO_2,\;O_3)$ 및 입자성분을 채취하여 이를 분석하고, 또한 에어로졸의 형상과 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독도의 기상상태는 대체적으로 습도가 높은 해안지방의 특성을 가졌으며, 독도 정상 (해발 98m)에서의 대기 중의 시료 채취 결과, 가스상 물질인 $SO_2,\;CO,\;NO_2$$O_3$의 평균 농도 값은 대기 환경기준치에 크게 미달되는 2.3ppb, 5.57ppm, 6ppb 및 7ppb로써 상당히 좋은 대기질로 판단된다. 2) 부유입자상 물질의 농도 값은 $153{\mu}g/m^3$으로써 년평균값의 환경기준치보다 약간 상회하였지만 그 성분 분석결과, 대부분 입경이 크고 ($1{\mu}m$이상) Na, Cl과 같은 해염성분이 우세하였다. 따라서 대기 입자상 물질의 환경기준치 설정시 그 성분분석도 함께 고려되어야만 할 것으로 사료된다. 3) 독도는 해양에서의 대기질 평가를 위한 지점으로써 뿐만 아니라 기상학적 관측 자료를 얻기 위한 주요한 고정 관측점으로써도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SO_2,\;CO,\;NO_2,\;O_3,\;TSP)$ and the composition of atmospheric aerosols, air samplings using teflon bags and a high volume air sampler were accomplished from 7 to 8 lune 1991 (first time) and from 25 to 26 June 1992 (second time) at the top of Dokdo island, Korea. During observation periods, mean concentrations of $SO_2,\;CO'\;NO_2\;and\;O_3$ gases were 2.3 ppb, 5.57 ppm, 6 ppb and 7 ppb, respectively, and mean concentration of TSP using a high volume air sampler was $153{\mu}g/m^3$. The composition of atmospheric aerosols by SEM-EMAX analyses were mostly Na, Cl and Si, and their sizes were more than $1{\mu}m$ diameter. From the results, it is found that atmospheric background values at Dokdo island is influenced by oceanic water quality evaporated from sea surface water, and this island has to be used as a stationary observation site for meteorological and air quality dat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