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지 협착 근위부의 연무 침착: 폐스캔에서 기관지 폐색의 특이한 지표

Prestenotic Bronchial Radioaerosol Deposition: A New Lung Scan Sign of Bronchial Obstruction

  • 정수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김학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최병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이상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강시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박용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Chung, Soo-Kyo (Department of Radiology and Nuclear Medicine,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im, Hak-Hee (Department of Radiology and Nuclear Medicine,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Choi, Byung-Gil (Department of Radiology and Nuclear Medicine,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Lee, Sang-Hoon (Department of Radiology and Nuclear Medicine,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ang, Si-Won (Department of Radiology and Nuclear Medicine,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Bahk, Yong-Whee (Department of Radiology and Nuclear Medicine,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발행 : 1995.09.25

초록

기관지 폐색은 임상적으로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특히 대엽 이하나 소엽 기관지에 폐색이 일어날 경우엔 그 변화가 미미하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저자들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기관지 폐색과 협착을 일으킨 8예에서 연무흡입 폐환기스캔을 시행하여 폐환기스캔 소견을 분석하였고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8예중 7예는 기관지 폐색이었고 1예는 기관지 협착이었다. 연무흡입 폐환기스캔은 $^{99m}Tc$-phytate를 BARC nebulizer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스캔 소견을 단순 흉부X선, 기관지조영술, CT, 그리고 기관지경 소견과 비교하였다. 전예에서 특징적으로 기관지 폐색 또는 협착 근위부에 짧고 약간 확장된 기관지 분절에 강한 연무침착 소견을 보였다. 또한 원위부에서는 폐실질의 환기결손 소견을 보였다. 이러한 소견은 기관지 폐색과 협착의 감수적이고 특이한 소견이며, 연두흡입 폐환기스캔은 특히 폐색부가 대엽 이하나 소엽 기관지일 경우에 더욱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esent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assess the diagnostic usefulness of radioaerosol lung scan in complete bronchial obstruction (n=7) and bronchial narrowing (n=1) of varying causes. $^{99m}Tc$-phytate lung scan was performed using the aerosol generated by a BARC nebulizer. Scan alterations were correlated with those of chest radiography, bronchography, lung CT and/or brochoscopy. In every case scan showed characteristic intense deposition of radioaerosol in a short slightly dilated, bronchial segment immediately proximal to obstruction or stenosis. Characteristically it was accompanied by an airspace aerosol deposition defect distally. The finding of a short, clubbed, bronchial radioaerosol deposition with distal airspace defect is a sensitive, specific indicator of bronchial obstruction or stenosis. It was especially useful in the detection of the obstruction of a small bronchus at the lobar and sublobar levels. We propose to name it the prestenotic aerosol deposition sig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