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제40권5호
- /
- Pages.587-593
- /
- 1995
- /
- 0252-9777(pISSN)
- /
- 2287-8432(eISSN)
야생 및 재배더덕의 재배장소에 따른 생육 및 향기성분
Growth and Aromatic Constituents of Wild and Domesticated Codonopsis lanceolata Grown at Two Different Regions
초록
야생더덕과 재배더덕의 재배장소에 따른 생육특성, 품질 및 향기성분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생지의 기상환경은 재배지에 비해 기온이 4∼8 낮고 지온도 3 낮았으며 조도량은 재배지의 1.7% 정도였다. 2. 자생지 토양의 환경조건은 재배지 토양에 비하여 pH는 낮았으나 유기물함량은 3배 이상 높았다. 3. 야생더덕과 재배더덕의 염색체 수는 2n =16으로 같았고 자방수도 3개로 동일하였으나, 종자수는 재배더덕이 62개, 야생더덕이 132개로 야생더덕 이 2배 정도 많았다. 4. 야생더덕과 재배더덕의 생육은 재배지보다 자생지에서 저조하였으나 야생더덕은 재배지에서도 재배더덕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졌다. 5. 재배장소에 따른 더덕의 방향성분의 extract수율은 야생더덕은 재배지보다 자생지에서 높았으나 재배더덕은 재배장소에 따른 변화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extract수율도 50% 정도 낮았다. 6. 재배지에 따른 주요 무기성분함량은 자생지보다 재배지에서 많았으며 야생더덕보다 재배더덕에서 많았다 7. 더덕의 재배장소에 따른 주요 방향성분의 변화는 dimethylbenzene, 3-ethyl-5-2- ( ethylbutyl ) -octadecane, benzaldehyde, 14, 14-dimethyl -hexadecanoate, methylhexadecenoate등이 재배더덕에서는 없는 향기성분이 야생더덕에서 검출되었으며 더덕의 향을 내는 성분은 단일성분이 작용하기 보다는 peak면적이 높게 나타난 성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향기를 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Growth characteristics and aromatic constituents of wild and domesticated Codonopsis lanceolata grown in different regions were investigated to find the best cultural condition for quality improv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Air temperature of wild region was lower to 4~8 and soil temperature was also lower to 3 compared with domesticated region. Soil of wild region had about three times richer organic matter with lower pH. Chromosome number of wild and domestcated species was 2n=16, ovary number was 3, but seed number of wild species was 132 vs domesticated showing 62. Recovery yield of wild species grown wild region had 0.55%, besides that, the wild species grown in domesticated region had 0.34. But the domesticated species in wild and domesticated regions was the same as 0.28. Inorganic element contents of domesticated region showed much higher than that of wild region. Major aromatic constituents were specified in wild Codonopsis lanceolata as dimethyl benzene, 3-ethyl-5-2-(ethylbutyl)-octadecane, benzaldehyde, 14, 14-dimethyl-hexadecanoate, methylhexadecenoate of which was not detected in domesticated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