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and Combining Ability of Korean Local Waxy Maize lnbreds and Hybrids

주요 재래종 찰옥수수 자식계통과 교잡종들의 특성 및 조합능력

  • 이원구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 최봉호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Published : 1995.04.01

Abstract

In order to substitute sweet and super sweet maize hybrid seeds which are introduced at current, and to meet national demand for human consumption, inbreds and hybrids of waxy maize were developed by using Korean native lines, Six inbreds were used to produce 15 hybrids in a diallel cross, Six inbreds us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asseling dates, plant and ear heights, leaf area, and shank length, The inbred line, Bosung showed the longest shank length among the lines used, The ear characters like ear length and diameter, 100 kernel weight, row number, and kernel number per ear varied among lines, The inbred line Bosung was again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lines in ear length and diameter, row number and 100 kernel weight. However, ]ewon had the highest kernel yield per 100. Hybrids were also different in plant and ear characteristics depending upon the inbreds used. The hybrids of Bosung showed the longest ear length and the heaviest kernel weight. Highest kernel yield per unit area was obtained by the hybrids crossed with Dangjin, The general combining ability(GCA) of Dangjin was found very effective in reducing plant and ear height of hybrids. The GCA of Jewon was very effective in increasing tiller number per plant. The inbred line Bosung was effective in increasing ear length and 100 kernel weight and in decreasing row number. The hybrid which showed the highest specific combining ability in ear length and 100 kernel weight was Jewon Chilbo.

6개 자식계통 찰옥수수에 의한 이면교배 조합(역교배 불포함)에 대하여 식물학적 특성과 이삭 관련 특성들에 대하여 조사한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6개 자식계통들의 개화기, 간장, 착수고, 엽면적 및 수경의 길이는 각 계통들 간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보성 계통의 수경길이가 24.4cm였는데 반하여 칠보 계통은 9cm에 불과하였다. 2. 6개 자식계통들의 이삭길이, 이삭직경, 100립중, 이삭속길이, 열수 및 이삭당 립수 등 역시 계통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특히 보성 계통은 이삭 길이가 13.4cm로 계통 중 가장 컸으나 이삭 직경과 열수와 이삭당 총 당수가 가장 낮았으며, 100립종은 가장 무거웠다. 반면 당진 계통은 이삭 길이가 9.3cm로 짧은 대신에 이삭직경이 크고, 또 열수도 비교적 많아 이삭당 당수가 282개로 가장 많았다. 3. 자식계통들의 10a당 곡실 수량을 보면 분얼을 하고 다수성인 제원 계통이 285kg으로 가장 많았다. 4. 15개 교잡종들이 자식계통 특성 가운데 개화기, 간장, 착수고, 엽면적 등은 교배조합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5. 15개 교잡종들의 이삭관련 특성을 보면 보성 계통을 양친으로 한 조합들은 이삭길이가 길었고 100립종도 무거웠다. 반면에 당진 계통의 교잡종들은 이삭길이가 짧았다. 6.풋옥수수 수량이 높았던 것은 보성 계통과 교배된 조합들 이었으나, 곡실수량에서는 당진과 교배된 조합들이었다. 7. 당진계통의 일반조합능력은 교잡종의 간장과 착수고를 낮게 하는데 효과적이었다. 8. 제원계통은 교잡종들의 분얼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일반조합능력이 컸다. 9. 이삭의 길이, 100립종, 열수 등 이삭 관련 형질에 대한 일반조합능력 효과는 보성 계통이 컸고, 종실 수량에 대한 일반조합능력이 컸던 계통은 제원과 단양 계통이었다. 10. 이삭의 길이, 100립종 등에 대한 특수능력이 컸던 조합은 제원/칠보조합이었고, 종실 수량에 대한 특수조합능력이 컸던 계통은 보성/당진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