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ified Borresen's Coarse-Mesh Method for Improved Power Distribution Monitoring System Program Development for PWR

개선된 노심출력분포 감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수정형 Borresen 모형

  • Lee, Duk-Jung (Nuclear Engineering Depart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Chang-Hyo (Nuclear Engineering Depart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5.08.01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applicability of the modified Borresen's coarse-mesh method(MBSN) to the core power distribution monitoring program development for the Yonggwang nuclear power plant unit 3(YGN 3) which uses fixed incore detectors for monitoring core power distribution. In so doing the modified Borresen's coarse-mesh equations are solved with core internal boundary conditions provided by the fixed incore detectors and three-dimensional core power distributions are com puted for the first-cycle core of the YGN 3 PWR.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predictions of the COLSS(Core Operating Limit Supervisory System) which is the axial power shape monitoring program of the YGN 3. It is shown that the modified Borresen's method can reproduce the core axial power shape more closely than the COLSS. Because of other advantages in computing speed and predictive capability, n conclude that the proposed MBSN has a promising practical application for core power distribution monitoring program development.

이 논문에서는 영광 3호기와 같이 노심내 핵계장 장치를 갖고 있는 가압형 원자력 발전소용 노심출력 분포 감시프로그램의 개발에 수정형 Borresen 모형의 응용 타당성을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해 수정형 Borresen 방정식의 소격모형해를 핵계장장치의 측정치를 경계조건으로 하여 풀었으며, 이로부터 영광 3호기 첫주기 노심의 3차원 출력분포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현재 영광 3호기의 축방향 출력분포 감시프로그램으로 활용되고 있는 COLSS 예측치와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수정형 Borresen 모형으로 제안한 방법이 COLSS보다 축방향 출력분포를 실제에 더 가깝게 모사할 수 있음을 보였다. 노심 출력거동에 대한 예측능력이 있고 또한 전산속도면에서의 이점이 있어서 제안된 수정형 Borresen 방법이 노심출력분포 감시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