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alt-Fermented Fish and Chitosan Addition on the Pectic Substance and the Texture Change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김치의 발효과정 중 펙틴질과 조직감의 변화에 대한 젓갈과 Chitosan첨가의 영향

  • 안선정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학과) ;
  • 이귀주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학과)
  • Published : 1995.08.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ish sauces from shrimp and anchovy and chitosan on the changes in pH, acidity, texture, and pectin fraction during Kimchi fermentation. Also, we conducted sensory evaluation on the textural properties of various Kimch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During fermentation, pH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fermented anchovy sauce, fermented shrimp and control. And acidify was increased in the same order. But the addition of chitosan retarded the decrease in pH and increase in acidity. The compression force of various Kimchis during fermentation was decreased in the rder of fermented anchovy sauce, fermented shrimp, control and the addition of chitosan. During fermentation, hot water soluble pectin (HWSP) of control, fermented shrimp and fermented anchovy sauce increased whereas HCI soluble pectin (HCISP) in there treatments decreased. On the while, HWSP decreased and HCISP increased by addition of chitosan. Sensory score for the texture parameters such as hardness, crispness and chewiness of various Kimchis after the 3rd and 5th days of fermentation showed that hardness, crispness and chewiness were higher in chitosan treatment than in other treatments. The pH and acidity, compression force of Kimchis were appeared to be most highly correlated with crispness, showing that pH and compression force gave positive correlation and acidity g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crispness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s, chitosan addition was observed to infuluence the textural properties of Kimchi and their pectic substance.

새우젓과 멸치젓 그리고 키토산을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하고 김치의 숙성과정 중 pH와 산도, 조직감의 변화 및 pectin 질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또한 젓갈, chitosan을 첨가한 김치에 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김치의 숙성과정 중 pH는 감소하였으며 멸치젓 첨가군 새우젓 첨가군 대조군 키토산 첨가군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산도는 대조군이 숙성초기 0.28%에서 숙성말기 0.97%로 증가하였으며 멸치젓 첨가군은 0.27%에서 1.06%로, 새우젓 첨가군은 0.27%에서 1.03%로, 키토산첨가군은 0.26%에서 0.79%로 증가하였으며 멸치젓 첨가군 새우젓 첨가군 대조군 키호산 첨가군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2. 압착 시험에 의한 김치의 조직감 변화에서 압착변형력은 김치의 숙성과정 중 대조군은 5.0kg~l.6kg로 멸치젓 첨가군은 6.0kg~l.4kg로, 새우젓 첨가군은 6.5kg~l.5kg로, 키토산 첨가군은 6.0 kg~2.5kg의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멸치젓 첨가군 새우젓 첨가군 대조군 키토산 첨가군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3. 배추의 AIS로 부터 펙틴을 추출하여 HWSP, HXSP, HCISP로 분획한 함량비는 HWSP는 대조군, 새우젓 첨가군, 멸치젓 첨가군 순으로 숙성과정 중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키토산 첨가군은 소량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HXSP는 모든 첨가군에서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HCISP는 멸치젓 첨가군, 새우젓 첨가군, 대조군 순서로 감소하였다. 이와는 달리 키토산 첨가군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김치의 조직감 함수에 관한 관능 검사를 실시한 결과 숙성 3일과 5 일에 hardness, crispness와 chewiness는 키토산 첨가군이 다른 첨가군들 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또한 김치의 pH, 산도, 압착변형력과 김치의 조직감 함수에 대한 관능 검사 결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조직감 수는 crispness이었다. 로부터 PH와 압착변형력은 crispness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산도와 crispness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chitosan의 첨가는 김치의 숙성과정 중 압착변형력을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펙틴질의 분포에 영향을 주어 HWSP는 감소하고 HXSP는 증가하였으며 HCISP는 감소시킴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